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196

[중국의 요괴] 붉은 부리에 하나의 다리를 가진 비를 부리는 새 상양(商羊) 비를 부리는 신기한 새입니다. 1) 어원商羊이라는 이름은 한자어에서 유래했습니다.**商(상)**은 상나라(중국의 초기 왕조), 거래·소리 등을 상징하며, **羊(양)**은 양을 뜻합니다.조합하면 "상나라의 양" 또는 "거래하는 양"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전설 속 상양은 단순한 동물보다는 자연 현상을 통제하는 영물로 묘사됩니다.일부 학자들은 "상"이 "비를 부르는 소리"(雨聲)와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해, **"비의 양"**이라는 은유적 의미로도 해석하기도 합니다.2) 전승 이유중국 고대 사회에서 비는 농업 생산과 생존에 직결된 요소였습니다.상양 전설은 자연의 불가해함을 설명하고,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라는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또한 상양의 독특한 외모(한 다리, 붉은 부리)는 기이.. 2025. 7. 26.
[중국의 요괴] 아홉개의 인간의 머리가 달린 뱀의 형상을 한 요괴 상류(相柳) 1) 어원전승의 기원상류(相柳)라는 이름은 중국 고대 문헌인 《산해경(山海經)》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상(相)’은 ‘서로’, ‘유(柳)’는 ‘버드나무’를 의미하나, 실제 형상은 버드나무와 무관한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뱀입니다. 이는 음차 표기나 의역일 가능성이 높으며,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합니다. 다만 ‘아홉 개의 머리’라는 특성에서 ‘구두(九頭)’ 또는 ‘구면(九面)’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물’과 관련된 공공(龔公)의 부하로 묘사되는 점에서 수해(水害)의 상징으로 해석됩니다.2) 전승이유신화의 사회적 기능상류 전설은 고대 중국 사회에서 홍수와 치수(治水) 문제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자연 재해를 신의 분노로 인식했으며, 상류의 등장은 과도한 탐욕과 파괴적 본능이 초래하는 재앙.. 2025. 7. 25.
[중국의 요괴] 산속에 살며 작고 뚱뚱하며 검은 피부의 요괴 산화상 어원산화상(山和尙)의 이름은 중국어로 “산의 스님”을 의미합니다. “산(山)”은 산을, “화상(和尙)”은 불교에서 스님을 뜻하는 한자어로, 산스크리트어 “upādhyāya(우파디야야)”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이 이름은 요괴의 외모가 멀리서 보면 검은 가사를 입은 스님처럼 보인다는 전설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원매의 수신기에 따르면, 산화상은 머리가 벗겨진 모습이 스님의 민머리와 유사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는 중국 민간 전승에서 외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름을 짓는 전통을 반영합니다. 또한, “화상”이라는 표현은 불교 문화가 중국에 깊이 뿌리내린 이후 요괴나 정령에게 신비로운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어원의 문화적 배경산화상의 이름은 중국의 불교와 도교가 융합된 민간 신앙의 맥락.. 2025. 7. 24.
[중국의 요괴] 신선 세계에 살고 있는 날아다니는 물고기 머리가 돼지이며 몸은 물고기인 비어(飛魚) 1. 비어(飛魚) 개요비어(飛魚)는 이름 그대로 '날 비(飛)'와 '물고기 어(魚)'가 결합된 상상의 동물입니다. 이는 '날아다니는 물고기'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신성시되거나 특별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전승되어 왔습니다. 특히 고구려 고분 벽화와 중국의 고서 『산해경』 등 여러 문헌과 유물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비어는 단순히 형태적인 특징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길상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2. 어원비어의 어원은 한자 '飛魚'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飛'는 날다, 비행하다의 의미를 가지며, '魚'는 물고기를 뜻합니다. 따라서 비어는 '날아다니는 물고기'라는 직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름은 비어가 일반적인 물.. 2025. 7. 2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