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68

[한국의 요괴/소설 속 설정] 어둠을 실체한 존재로 사람을 직접으로 살해하는 극함의 요괴 그슨대 한국 요괴 ‘그슨대’에 대한 정리1. 그슨대의 정의와 특징‘그슨대’는 어둠을 실체화한 요괴로, 이름은 ‘그늘’이나 ‘그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음.‘어둠 속에 선 거대한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두려움과 공포를 주는 존재.어둠을 상징하는 또 다른 한국 요괴인 어둑시니와 유사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음.2. 어둑시니와의 차이점어둑시니는 사람을 놀래키는 장난스러운 요정과 같은 존재.그슨대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살해하는 ‘악귀’에 가까운 존재.일부에서 그슨대를 고려 시대의 수호신 또는 토착신으로 숭배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어둑시니와 혼동된 오해로 보임.3. 그슨대의 역사적 언급최초 기고글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2002년 이전에도 그슨대의 존재가 언급됨.2002년 발간된 《나, 황진이》 및 200.. 2025. 3. 21.
[한국의 요괴] 귀신과의 성관계로 태어난 아기...그가 바로 귀태(鬼胎)다!!! 귀태와 캠비온의 소설속 설정들.. 동양의 귀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귀태를 소설속 설정 그리고서양의 캠비온에 대한 소설속 설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귀태(鬼胎)"라는 용어는 한국의 무속이나 전통적인 신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귀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를 의미합니다. 비유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본래의 개념은 무속적인 믿음에 가깝죠.귀태의 특징과 설화신비로운 능력귀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로, 일반 인간과 외형적으로는 다를 바 없으나, 귀신을 보고 소통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여겨집니다.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권에서도 비슷한 개념이 존재하는데, 일본의 "온묘지(陰陽師)" 전설 속에서도 유사한 존재가 언급됩니다.비형랑 설화 (신라 시대)신라의 진지왕(眞智王)이 죽은 후에도 도화녀(桃花女)의 꿈속에 나타나 그녀와 교합하여 비형랑.. 2025. 3. 20.
[한국의 요괴] "거북이 머리 같은 산" 수백미터가 훌쩍 넘는 엄청난 크기의 산..귀수산 (龜首山) 귀수산(龜首山) – 신화 속의 신비로운 거북머리 산귀수산(龜首山)은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산으로, 이름 그대로 "거북이 머리 같은 산"을 뜻한다. 이 신비로운 산은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존재로, 마치 섬이나 암초처럼 보일 수도 있으며, 그 크기는 수백 미터를 훌쩍 넘는 엄청난 규모를 자랑합니다.동해에 나타난 거대한 산682년(신문왕 2년), 신라의 동해 바다에 정체불명의 거대한 산 하나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 산은 외형이 마치 거북의 머리를 닮았고, 그 정상에는 신비로운 대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대나무는 낮 동안에는 두 개로 나뉘어 보이다가 밤이 되면 하나로 합쳐지는 기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이 신비한 산의 등장은 사람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고, 신문왕.. 2025. 3. 19.
[한국의 요괴] 한국의 대표적으로 전해지는 뱀 신랑 설화에 등장하는 구렁덩덩 선비. 「구렁덩덩 선비」(혹은 신선비, 서선비)는 한국의 대표적인 변신설화이자 이물(異物) 교구 설화로, 인간과 뱀(또는 이형의 존재) 사이의 결혼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예요.이 설화는 지역과 전승자에 따라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아요.📖 「구렁덩덩 선비」의 일반적인 이야기 구조구렁이가 태어나다한 부부가 오랫동안 자식을 갖지 못하다가, 기도를 드린 끝에 아들을 낳지만, 아이가 구렁이로 태어나요.부모는 구렁이를 소중히 기르지만, 점점 자라면서 점쟁이나 예언자가 특별한 운명을 암시해요.구렁이와 인간 처녀의 결혼어느 날 구렁이가 한 부잣집의 세 딸과 결혼을 원하지만, 첫째와 둘째 딸은 거부하고 막내딸만이 결혼을 받아들여요.막내딸이 구렁이를 남편으로 받아들이자, 어느 순간 구렁이가 훌륭한.. 2025. 3. 18.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