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196

[중국의 요괴] 사람의 얼굴을 가졌으며 말이 없는 나무 요괴 인면수(人面樹) 인면수(人面樹)어원어원의 기원과 의미인면수는 중국 설화에서 전해 내려오는 독특한 요괴로, 그 이름은 ‘사람의 얼굴을 가진 나무’라는 뜻을 지닙니다. ‘인(人)’은 사람, ‘면(面)’은 얼굴, ‘수(樹)’는 나무를 의미하며, 이 이름은 이 생명체의 외형적 특징을 직관적으로 나타냅니다. 중국 고대 문헌인 *술이기(述異記)*와 같은 자료에서 처음 등장한 이 용어는, 사람의 얼굴을 닮은 꽃이나 열매를 맺는 나무로 묘사되며, 신비로운 자연현상과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상상력을 반영합니다. 이는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서 비슷한 전설로 나타나며, 고대인들의 자연과 인간의 경계를 탐구하려는 시도를 보여줍니다. 어원의 뿌리는 중국 도교와 민간신앙에서 자연물에 깃든 영혼이나 정령에 대한 믿음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2025. 8. 11.
[중국의 요괴] 대륙에서 행패를 부렸다가 신라로 쫓겨난 3만년 묵은 천호 유성신(劉成神) 유성신(劉成神) 설화 분석1.어원유성신의 이름과 기원유성신(劉成神)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설화집인 태평광기에 등장하는 천호(天狐)로, 그 이름은 ‘유성’(劉成)이라는 인간적인 이름과 ‘신’(神)이라는 신령스러운 존재를 결합한 형태입니다. ‘유성’이라는 이름은 당나라의 성씨인 ‘유’(劉)에서 따왔으며, 이는 당나라 황실의 성과 관련이 있어 고귀한 이미지를 상징할 수 있습니다. ‘성’(成)은 성공이나 완성을 의미하며, 이 이름은 천호가 인간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려는 의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신’은 초자연적인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며, 천호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하늘의 권위를 가진 존재임을 드러냅니다.유성신은 천호라는 특수한 존재로, 하늘에서 내려온 신령한 여우로 여겨졌습니다. 이는 도교의.. 2025. 8. 10.
[ 중국의 요괴 ] 괴조로서 인간의 얼굴에 새의 부리와 몸통 그리고 날개가 있는 온전한 새의 형상을 가진 온모라키(陰摩羅鬼) 온모라키(陰摩羅鬼) 분석1) 어원온모라키(陰摩羅鬼)라는 이름은 중국과 일본의 고대 문헌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 어원은 불교와 도교의 혼합된 신화적 배경에서 비롯됩니다. '陰(음)'은 어둠, 음기, 또는 죽음과 관련된 부정적인 에너지를 상징하며, '鬼(귀)'는 귀신 또는 영혼을 의미합니다. '摩羅(마라)'는 불교에서 깨달음을 방해하는 마귀, 즉 마왕 마라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온모라키는 '어둠의 마귀' 또는 '죽음의 마귀'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초자연적 존재를 강조합니다. 일본에서는 토리야마 세키엔의 *금석화도속백귀(今昔畵圖續百鬼)*에 등장하며, 이 이름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이름은 요괴의 기묘하고 불길한 성질을 잘 드러내며, 동아시아의 음양 사상과 불교적 .. 2025. 8. 9.
[중국의 요괴] 요재지이에 등장하는 강간만을 일삼는다는 다섯 마리의 요괴들 오통신(五通神) 요재지이에 등장하는 간음만을 일삼는 아주 못된 다섯마리의 요괴들입니다.실제 등장하는 요괴외에 두마리(여우, 뱀)은 임의로 추정하여 추가했습니다.1) 오통신(五通神)의 어원과 개념오통신은 고대 중국의 민간 신앙과 도교에서 유래한 독특한 개념의 요괴입니다. '오통(五通)'이라는 단어는 원래 불교 용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육신통(六神通) 중 하나인 '천안통(天眼通), 천이통(天耳通), 타심통(他心通), 숙명통(宿命通), 신족통(神足通)'의 다섯 가지 신통력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요괴로서의 오통신은 이러한 불교적 의미와는 다르게, 다섯 가지의 사악한 능력을 지니거나, 또는 다섯 가지 종류의 요괴가 무리를 이루어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를 일컫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즉, 이들은 비정상적인 힘을 .. 2025. 8. 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