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196

[중국의 요괴] 산해경 동산경 중 동차이경 파트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 날개를 달려 있으며 천하가 크게 가문다고 하는 여우 폐폐(獙獙) 폐폐(獙獙): 중국 신화 속 가뭄을 부르는 날개 달린 여우 요괴시리야님,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국 고대 지리서이자 신화집인 『산해경(山海經)』에 등장하는 신비롭고도 두려운 요괴, ‘폐폐(獙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폐폐는 그 독특한 생김새와 함께 자연 현상, 특히 가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고대 중국인들의 자연관과 세계관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이 글을 통해 폐폐의 다양한 면모를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1. 개요폐폐는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신화집인 『산해경』 중 '동산경(東山經)'의 '동차이경(東次二經)' 파트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이 요괴는 단순히 기이한 생김새를 지닌 존재를 넘어, 세상에 큰 재앙을 가져올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2025. 8. 23.
[중국의 요괴] 나무의 정괴로 불리우며 사람의 얼굴에 꼬리가 없는 검은 개 팽후(彭侯) 나무의 정괴로 불리우면서 인간들이 이 요괴를 직접 먹었다는말이 무척이나 특히한 케이스입니다. 1. 팽후 소개팽후는 고대 중국의 요괴로, 특히 나무의 정령(정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전승에 깊이 뿌리내린 존재이며, 이웃 나라인 일본에서는 '호우코우(ホウコウ)'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팽후가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공유되는 요괴 문화의 한 부분임을 보여주는 특징입니다. 단순한 괴물이 아닌, 자연물, 특히 나무와 밀접하게 연결된 존재로 인식되었습니다. 이 요괴는 고대 중국인들이 자연에 대해 가졌던 경외심과 두려움, 그리고 때로는 실용적인 관점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1) 어원팽후(彭侯)라는 이름은 그 자체로 고대 중국에서 사용되던 명칭이며, 특정 한자의 조합을.. 2025. 8. 22.
[중국의 요괴] 검은 몸에 푸른 머리를 가졌으며 몸 길이가 무려 1,800미터인 거대한 뱀 요괴 파사(巴蛇) 중국 요임금 시대에 살았다는 거대 뱀 요괴 크기가 어마어마 합니다.1) 어원파사(巴蛇)는 이름 자체에 그 특징과 기원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파(巴)'는 고대 중국의 서쪽에 존재했던 파(巴)나라, 즉 현재의 쓰촨성(四川省) 지역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파사의 전설이 쓰촴성 지역의 전설로 전해진다는 기록과 연결되어 이 요괴가 쓰촨 지역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사(蛇)'는 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사라는 이름은 '파 지역의 뱀'이라는 직접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거대한 몸집과 두려운 존재감을 연상하게 합니다. 파사는 또한 '수사(水蛇)'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물 수(水)'자와 '뱀 사(蛇)'자를 사용하여 파사가 물에 사는 뱀, 즉 수중 요괴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 2025. 8. 21.
[중국의 요괴 ] 눈알 수천 개가 달린 커다란 붉은 고깃덩어리 혹은 붉은 곰팡이 같은 모습을 하고 사람의 말을 하는 악신 테세(太歲) 신비롭고 위험한 존재, 태세 (太歲) 파헤치기태세는 중국의 고대 천문학, 점성술, 그리고 민간 신앙에 깊이 뿌리내린 신비로운 존재입니다. 때로는 신으로 숭배되기도 하고, 때로는 엄청난 재앙을 가져오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 복합적인 면모와 기원을 지금부터 항목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어원태세의 어원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에서 시작됩니다.가상적인 별의 개념태세는 원래 중국 점성학상으로 목성과 반대편에 위치한 가상의 별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실존하는 별이나 행성은 아닙니다만, 고대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습니다. 목성은 공전 주기가 약 11.862년으로, 대략 12년에 가까웠기 때문에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을 12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목성이 어떤 구역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 2025. 8.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