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한국신화-유래,역사편9

[한국의 요괴] 한국 민담에서 가장 유명하고 각양각색으로 등장하는 잡귀 일명 도깨비 도깨비에 대한 개요1. 도깨비의 전통적 모습도깨비는 어슴푸레한 환상 속에서 나타나는 덩치가 큰 남성으로 전해집니다. 현대 한국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도깨비의 모습은 유쾌함, 망측함, 비범함을 동시에 갖춘 귀신입니다. 도깨비는 귀매, 귓것, 허주, 뜬것, 독각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2. 도깨비의 이야기이야기 속에서는 물건이 오래되면 도깨비가 된다고 전해지며, 특히 오래된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오래된 빗자루에 피가 묻으면 도깨비가 된다는 전승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오래된 빗자루를 벽에 세워 두지 않는 풍속이 존재합니다.3. 도깨비와 인간의 관계도깨비는 인간들과의 친밀성을 강조하며, 인간 남성을 부를 때 "김서방"이라는 친근한 호칭을 사용합니다. 이처럼 도깨비는 .. 2025. 4. 6.
[한국요괴] 신라때 김유신 앞으로 찾아온 그 노인이 변신술을 부렸다는 노옹화구(老翁化狗) 신라시대때 김유신을 찾아온 한 노인이 있는데 이 노인은 변신술을 부렸다고 나와!!..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고 되어있어. 지금은 전하지 않지만 수이전에 수록되어있다고 나와 있었대.  노옹화구(老翁化狗)는 신라 시대의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하는 이야기로, 수이전(殊異傳)에 기록되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수이전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후대의 기록을 통해 일부 내용이 전해집니다.노옹화구 설화 개요김유신과의 만남: 신라의 명장 김유신이 어느 날 한 **노인(老翁)**을 만나게 됩니다.변신술의 시연: 이 노인은 김유신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겠다며 스스로 개(狗)로 변신합니다.의미와 해석: 단순한 변신술의 시연이 아니라, 김유신에게 어떤 교훈이나 가르침을 주기.. 2025. 2. 16.
[한국신화] 이승과 저승을 누가 다스릴 것인가?? 대별왕과 소별왕 *** 나무위키를 중심으로 적었습니다.*** 제주도에서 나오는 신화적이야기입니다.바로 대별왕과 소별왕의 이야기입니다. 대별왕과 소별왕의 신화적 이야기.. 제주도에 전승되는 창조신화로서 천지왕의 두 아들인 형 대별왕과 동생 소별왕이 해당 신화의 주인공인데 이들 형제가 창조된 세계에서 저승과 이승 둘중 누가 이승을 다스릴 것인가를 두고 다투는 신화입니다. 천지왕이 자신의 배필을 만나게 되는 여정들... 이 세상에는 원래 해가 2개, 달이 2개 있었다고 합니다.그래서 사람들은 낮에는 더워 죽으려 했고밤에는 추워 죽으려 했었다고 합니다.사실 그당시에는 해는 양으로서 뜨거움을 간직한 것이고달은 음으로서 차가운 기운을 가지고 있었을것이라고생각했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어느날 세상을 다스리던 천지왕은 해와 달을 하나씩.. 2024. 10. 29.
[한국신화] 고조선의 실질적 창조주이며 고조선의 초대천왕 환웅천왕 *** 나무위키를 중심으로 적었습니다.***환웅(桓雄)은 한국 신화에 나오는신인(神人)입니다.하늘의 신 환인(桓因)의 아들로지상에 내려온 천손(天孫)입니다. 환웅...그 이름의 유래 환웅은 달리 천제자(天帝子)·천왕(天王)·천왕랑(天王郞)[1]이라고도 합니다.《삼국유사》에는 환웅천왕(桓雄天王)·신웅(神雄) 등으로,이승휴가 7언시(七言詩)와 5언시로 지은 역사책인《제왕운기》에는 단웅천왕(檀雄天王) 등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름의 연원은 아무래도 알 수 없으나, 桓이 한, 즉 하늘을 음차한 것이라 보고 해석하자면 '하늘의 사람'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신인(神人). 단 《삼국유사》에서 환웅(桓雄)에 대해 신웅(神雄)으로 표현한 것은 그가 인간이 아닌 신(神)이라는 의미가 아니고 신성한 인간이란 뜻이라.. 2024. 10. 28.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