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한국의 요괴] 오직 집에만 존재하며 집에서 괴상하고 해로운 짓을 하는 의가작수(依家作祟) 1. 어원‘의가작수(依家作祟)’는 한자로 '의지할 의(依)', '집 가(家)', '지을 작(作)', '재앙 수(祟)'를 사용합니다. 직역하면 “집에 의지하여 재앙을 만든다”는 뜻으로, 특정 주택이나 거처에 붙어 살며 괴상하고 해로운 짓을 일삼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귀신이라기보다는, 집 자체에 정착하여 악의적 행위를 반복하는 정령 또는 요괴의 개념에 가깝습니다.2. 전승이유‘의가작수’ 전승의 핵심은 귀신의 활동이 개인이 아닌 ‘집’이라는 공간에 집중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유계량이라는 실존 인물의 사후, 그의 원혼이 특정 공간에 머물며 악행을 일삼았다는 점에서 비롯됩니다. 요괴가 특정 장소와 결합하여 발생하는 재앙은, 전통적으로 불길한 주택이나 묘혈, 혹은 풍수지리적 문제와도 연계되며 사회의 불.. 2025. 5. 28.
[한국의요괴] 하늘의 비를 상제의 허락없이 내렸지만 원광에 의해 죄를 피할수 있었던 이목룡(梨木龍) 1) 어원 이목룡(鯉目龍)이라는 이름 자체는 한국 전승에서 흔히 발견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이무기' 또는 **'용녀'**와 같은 한국의 용 전승에 등장하는 존재들을 지칭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보입니다. '이목룡'이 『해동고승전』에 등장하는 '서해에 사는 용녀'를 지칭한다고 명시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이름은 아마도 해당 용녀의 정체성이나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 붙여진 명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특정 종(種)을 의미하는 고유명사라기보다는, **물고기(鯉)의 눈(目)을 가진 용(龍)**과 같은 시각적 특징이나 서식 환경을 나타내는 일종의 별칭에 가깝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명칭 부여 방식은 한국의 설화나 전설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특정 존재의 특징이.. 2025. 5. 27.
[한국의 요괴] 눈이 여섯 개 달린 거북이 그 기이하고 특이한 요괴 육안귀(六眼龜) 1. 어원 (Etymology)육안귀(六眼龜)라는 명칭은 한자어 그대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이름입니다.1-1. 한자 분석육(六): 숫자 '여섯'을 의미합니다. 이는 육안귀가 가진 가장 핵심적인 특징인 여섯 개의 눈을 지칭합니다.안(眼): '눈'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생물과 달리 여러 개의 눈을 가졌다는 비범함을 나타냅니다.귀(龜): '거북'을 의미합니다. 육안귀가 거북의 형태를 하고 있음을 명시합니다.따라서 육안귀는 글자 그대로 '여섯 개의 눈을 가진 거북'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명칭은 존재의 가장 두드러지는 신체적 특징을 직접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처음 듣는 이도 그 모습을 어느 정도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이름 자체에서부터 신비롭고 기이한 존재라는 인상을 강하게 전달하.. 2025. 5. 26.
[한국의 요괴] 호랑이 조차 공포와 경외의 대상인 맹금류의 왕 육덕위(肉德威) 1. 개요육덕위(肉德威)는 조선시대의 문헌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중 에 등장하는 상상 속의 거대 맹금류입니다. 이 새는 일반적인 맹금류보다 훨씬 크고 강력한 능력을 가진 존재로, 수리(鷲)와 흡사한 외형을 가졌으나, 사람을 태우고 날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하며 호랑이를 사냥할 수 있는 힘을 지녔다고 전해집니다. 호랑이를 발견하면 즉시 날아가 그 머리 위에 앉아 두 눈을 쪼아 먹는다는 묘사가 있으며, 이는 육덕위의 포악성과 전투 능력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표현입니다.육덕위는 단순한 맹금이 아닌 일종의 신조(神鳥), 또는 신화적 요조(妖鳥)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전승되는 방식과 그 상상력의 범위로 보아 당시 사람들의 상상 속에서 가장 강력한 새의 형상을 구현한 존재라 할 수 있습니다. 2. 어원 및 명칭의.. 2025. 5.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