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한국의 요괴] 직접적인 해악은 끼치지 않으나 대상을 포위하여 놀래키는 짓은 아주 잘하는 도깨비 유엽화(遊獵火-몰이사냥용 횃불) 한국의 도깨비 – 유엽화1. 개요유엽화(遊獵火)는 『용재총화』에 등장하는 한국 도깨비의 한 종류입니다. 유엽화는 몰이사냥을 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악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저자인 성현(成俔)의 외숙 안 부윤(安府尹)이 실제로 목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기이한 특징 덕분에 후대에도 흥미로운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습니다.2. 전승2.1. 안 부윤의 목격담안 부윤이 젊었을 때, 파리한 말 한 마리와 어린 종을 데리고 서원(瑞原) 별장으로 이동하던 중이었습니다. 날이 어두워져 가는 길이 험난해지면서 별장에서 약 10리쯤 떨어진 곳에서 일행은 사람의 자취를 찾지 못하고 당황했습니다.그 순간, 동쪽의 현성(縣城) 방향에서 갑자기 횃불들이 밝게 빛나며 떠들썩한 소음과 함께 몰이사냥을 하듯.. 2025. 5. 24.
[한국의 요괴] 여러 다층적인 상징체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유성신(劉成神) 1. 유성신(劉成神)의 개요유성신(劉成神)은 중국 송나라 시기의 설화집 『태평광기(太平廣記)』에 수록된 천호(天狐) 중 하나로, 대륙에서 패악을 부리다 신라로 추방되어 신으로 숭배받게 된 존재입니다. 그의 이름은 조선 후기 시문집 『희암집(希菴集)』에도 등장하며, 유성신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종교적, 정치적 상징성이 결합된 존재로 묘사됩니다.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그는 인간의 삶을 농락하며 종교적 광기를 일으키고, 결국 도교의 힘으로 제압되어 한반도로 추방된 천상의 요호(妖狐)로 자리매김합니다. 2. 유성신 설화의 전승 내용2.1 현령의 출가와 보살의 환영당나라 시절 어느 현령이 갑자기 "출가하고 싶다"며 불경을 외우기 시작합니다. 가족들이 말려도 듣지 않고, 오색 구름 속에서 사자 위에 앉은 보살이 .. 2025. 5. 23.
[한국의 요괴] "우렁 각시" 해외에서 말하는 것들의 이야기들 해외에 나타나는 우렁각시형 설화의 유형1. 개요우렁각시는 한국 전래동화에서 대표적인 이류혼인담(異類婚姻談)의 일종으로, 인간이 아닌 존재가 아내가 되어 집안일을 해주고 남편과 결혼하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며, 대부분 ‘남자가 집안일을 대신해주는 신비한 여인과 결혼하게 되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화권에 따라 여성의 정체가 우렁이, 조개, 그림, 금붕어, 학 등으로 다양하게 바뀌지만, 이야기의 핵심 구조는 거의 동일합니다. 다음은 각 나라별 대표적인 이류혼인담 설화를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2. 중국 – 수신후기의 '우렁이 여인(螺女形)'출처와 명칭 중국에서는 진수(晉書)의 야담집 『수신후기(搜神後記)』에 우렁각시와 유사한 '나.. 2025. 5. 22.
[한국의 요괴] "우렁각시" 의 수많은 각색과 설화들 총정리 각색판 우렁각시 설화 정리 다양한 변이형 우렁각시잉어, 붕어로 변한 우렁각시 일부 판본에서는 우렁각시가 우렁이가 아니라 잉어나 붕어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는 물과 관련된 상징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해석되며, 각시의 신비로운 기원을 암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또 외 다른 권력자 등장 사또 외에도 임금, 도적단 두목, 건달패 대장 등 다양한 권력자가 각시를 탐내는 인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는 각시의 미모와 능력을 사회적 권력 구조에 맞춰 탐욕의 대상으로 전환시킨 변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극적인 결말: 자살, 쇠약사, 장독사 각시가 사또에게 끌려가게 되고, 이에 절망한 농부가 자살하거나, 마음의 병으로 인해 쇠약사하거나, 장독에 빠져 죽는 비극적인 전개도 존재합니다. 이는 신분의 벽과 현실의.. 2025. 5. 2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