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한국의 요괴] 질병을 몰고 다니며 역병을 일으키는 사악한 악귀--저퀴 1) 개요저퀴는 질병을 몰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의 상상 속 존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씌이거나 오래된 폐가에 머물며 온갖 괴이한 현상을 일으키고 역병을 퍼뜨리는 사악한 악귀 또는 도깨비의 일종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람들은 저퀴를 두려워했으며, 질병이나 불행의 원인을 설명하는 존재로 여겼습니다. 저퀴는 한국의 여러 요괴나 귀신 이야기 속에서 등장하며, 특히 아이들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자주 묘사됩니다. 이러한 전승은 예로부터 질병과 죽음, 특히 어린아이들의 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에 사람들이 가졌던 불안감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저퀴에 대한 이야기는 주로 구전되거나 민담 형태로 전해져 내려오며, 기록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2025. 6. 9.
[한국의 요괴] 하늘을 뒤덮을 정도로 거대한 나무 요괴 장화훤요(張火喧鬧) 1) 어원장화훤요(張火喧鬧)의 한자적 의미는 “붉게 밝히고 시끄럽게 떠드는” 상태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장(張)”은 무언가가 활짝 펼쳐진 모양을, “화(火)”는 불빛이나 붉음을, “훤(喧)”은 시끄러운 소리와 떠드는 모습을, “요(鬧)”는 소란한 행동을 상징합니다. 이처럼 이름 자체에 이미 요괴의 외형과 행동 양식이 내포되어 있으며, 당시 사람들이 자연 현상이나 미지의 힘에 두려움과 경외감을 표하는 모습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어원 분석은 단순한 명칭 이상의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며, 자연의 거대한 힘과 인간의 불안감을 함축한 서사적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름에서 드러나는 붉은 빛과 소동의 이미지는 요괴의 활동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당시의 신비로운 자연 현상과 인간 심리의 얽힌 관계.. 2025. 6. 8.
[한국의 요괴] 해초와 곡식이 몸에 뒤엉킨 채 춤을 추 강릉단오제를 대표하는 풍요와 익살의 도깨비 장자마리 1) 어원장자마리의 이름은 강원도 강릉 지방의 방언에서 유래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장자'라는 부유한 사람을 뜻하는 단어와 '마리'라는 지역 방언이 합쳐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풍요와 부유함을 상징하는 단어와 어떤 대상을 칭하는 접미사가 결합하여 장자마리라는 이름이 형성된 것입니다.2) 전승 이유장자마리는 농어촌 지역인 강릉에서 풍요와 다산,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한 상징적 존재로서 전승되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삶에 깊이 뿌리박힌 농업과 어업 활동에서 풍요로운 수확과 안전을 기원하는 바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3) 전승 내용 분석장자마리는 도깨비의 일종으로 해초와 곡식이 몸에 뒤엉킨 모습으로 묘사됩니다. 이는 육지의 농업과 바다의 어업이 공존하는 지역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장자마리는 뿔이 달린 뾰.. 2025. 6. 7.
[한국의 요괴] 호랑이와 유사한 골격을 갖고 있으며 또한 백발의 비단같이 긴 털을 가진 장산범 장산범의 외모와 특징 1. 기본 외형과 형태장산범은 일반적으로 호랑이와 유사한 골격을 바탕으로 하지만, 전통적인 호랑이와는 완전히 다른 이질적인 인상을 주는 요괴입니다. 몸 전체가 백발에 가까운 비단같이 곱고 긴 털로 덮여 있으며, 이 털은 단순한 외양 요소를 넘어서 환각을 유도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전해집니다. 이러한 외형 때문에 장산범을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모습으로 착각하게 된다는 이야기도 존재합니다. 털은 얼굴까지 덮고 있어 눈, 코, 입이 제대로 보이지 않으며, 퍼런 빛을 띠는 안광만이 털 사이로 드러나 섬뜩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몸의 전체적인 실루엣은 나무늘보와 유사하며, 기괴하고 부자연스러운 네발 보행을 합니다. 사람의 머릿결처럼 흐르는 털과 길쭉한 사지, 뭉툭하고 기형적인 손발의 조화는.. 2025. 6. 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