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의 괴물,요괴,귀신/한국괴물,요괴,귀신

[한국의 요괴] 귀멸의 칼날 속 혈귀들이 "인육"을 먹어야만 했던 충격적 이유!!

by 크리스탈칼리네이 2025. 4. 16.

출처 : https://i.pinimg.com/736x/1e/b8/6f/1eb86fe3243f40fc28778299307a7580.jpg
출처 : https://i.pinimg.com/736x/69/21/65/692165163d6ebe990530a4423605f46b.jpg

 

귀멸의 칼날속 혈귀들의 불로장생

 

🔴 혈귀는 늙지 않는다

혈귀는 인간처럼 노화하지 않으며, 수명을 초월한 존재입니다. 무잔은 1,000년 이상을 살아왔음에도 외견상 큰 변화 없이 생존하고 있으며, 그가 만든 혈귀들도 처음 혈귀가 되었던 시기의 모습을 유지합니다. 일부 혈귀는 외형이 변형되었으나, 이는 노화 때문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 인위적 노화도 의미 없다

무잔은 타마요의 약물로 인해 9,000년에 해당하는 노화를 겪게 되었지만, 실제 모습에는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한 것 외에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는 혈귀의 육체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도 쉽게 노쇠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 태양은 유일한 약점

혈귀의 최대 약점은 태양빛입니다. 햇빛에 노출되면 순식간에 재로 소멸됩니다. 그러나 무잔은 이 약점을 극복하고자 하며, 햇빛을 견딜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되기를 원합니다.


🔥 태양 극복 = 완전한 불사

만약 혈귀가 태양을 극복하게 된다면, 그는 더 이상 일륜도(태양의 힘이 깃든 칼)에도 죽지 않는 존재가 됩니다. 이는 그 어떤 무기로도 죽일 수 없는, 완전한 불로불사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잔이 태양 극복에 집착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출처 : https://i.pinimg.com/736x/f6/e4/f1/f6e4f1f37b92b46c45e21ad83da62210.jpg


혈귀들의 주식은 "인육"

⚫ 도깨비는 인간의 음식을 먹을 수 없습니다

도깨비는 인간의 일반적인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존재입니다. 도시락 냄새만으로도 구역질을 할 정도로 반응하며, 팬북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은 먹는 즉시 토해낸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무잔은 천 년 동안 음식에 입을 대지 않아 미각조차 잊었다고 말하며, 도우마는 생전 즐기던 술조차 마시지 못해 술로 목욕하는 것으로 대체합니다. 다만 타마요처럼 의학 지식을 통해 인간 시절 좋아하던 홍차 정도는 마실 수 있게 조절한 사례는 있습니다.

즉, 도깨비의 육체는 인간 음식과 궁합이 맞지 않으며, 먹어야 할 대상은 명확히 인간이거나 생고기, 혹은 피입니다.


🩸 생존을 위한 식사 – 인육 중심

도깨비는 생존을 위해 인육을 섭취해야만 하는 존재입니다. 이들은 인간을 잡아먹지 않으면 생명 유지를 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도깨비가 된 존재는 필연적으로 사람을 해치는 삶을 살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막 도깨비가 된 순간에는 극심한 기아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이성을 잃고 주변의 가족, 친구, 부모조차 구분하지 못한 채 살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작중에서 인간을 먹지 않은 도깨비는 네즈코, 유시로, 아사쿠사 행인 단 세 명 뿐입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로, 대다수의 도깨비는 필연적으로 식인을 하게 됩니다.


🐷 인간 외 고기류도 가능은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도깨비가 먹을 수 있는 것은 인간 외에도 동물의 시체나 생고기 등 일부 육류도 포함됩니다. 타마요는 무잔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우연히 발견한 시체나 동물 고기로 연명했고, 이후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헌혈된 피만을 섭취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대체물일 뿐, 근본적인 영양 보충이나 강해지는 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즉, 진정한 영양 공급원은 인간, 특히 특별한 인간입니다.


👹 도깨비도 도깨비를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도깨비는 서로 서열 다툼, 생존 경쟁, 교체혈전 등에서 패배하면 이긴 도깨비에게 잡아먹히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잔의 명령에 따라 대개는 단독 활동을 하기 때문에, 일부러 다른 도깨비를 찾아 잡아먹는 행위는 매우 드문 일입니다.

또한 도깨비를 잡아먹는다고 해서 인간을 먹을 때보다 더 강해진다는 명확한 설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행위는 특수한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 식인 = 강해지는 원천

도깨비는 인간을 많이 먹을수록 강해집니다. 즉, 식인 행위는 생존뿐만 아니라 성장, 진화를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무잔, 도우마 같은 상위 도깨비들은 수백, 수천 명을 잡아먹으며 끊임없이 강해졌습니다.

하지만 모든 도깨비가 무한히 강해질 수는 없습니다. 체질에 따라 섭취 가능한 인육의 한계치가 있으며, 이 한계에 도달한 도깨비는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합니다. 대표적으로 쿄우가이는 이 한계에 도달해 더 이상 십이귀월의 자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박탈당한 바 있습니다.


🌟 '희귀혈'이라는 특수한 인간

간혹 도깨비에게 보약과도 같은 존재가 등장하는데, 이를 ‘희귀혈’ 보유자라고 합니다. 이들은 일반 인간보다 50배 이상의 영양가를 가진다고 묘사되며, 도깨비가 단숨에 강해질 수 있는 강력한 식재료입니다.

쿄우가이 역시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희귀혈을 섭취하면 다시 강해질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해당 인간을 찾고 있었습니다.

과학적으로 인간의 고기가 가축 고기보다 영양학적으로 뛰어나다는 근거는 없지만, 도깨비 세계관에서는 초자연적인, 마법적 속성에 의한 효과로 해석해야 자연스럽습니다.


🧬 남자보다 여자가 더 효과적?

도우마의 말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여성의 인육이 남성보다 효율이 더 좋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여자는 뱃속에 아이를 키울 수 있을 만큼 영양이 많기 때문"이라는 추정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도우마 개인의 의견인지, 실제 설정인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이 설정은 다소 불쾌할 수 있으나, 작품 내에선 도우마라는 인간혐오자이자 사이코패스적 인물의 성격과 맞물려 묘사됩니다.


🧘‍♂️ 수련으로도 강해질 수 있지만…

도깨비는 수련을 통해서도 일정 부분 강해질 수 있습니다. 아카자는 인간 시절부터 끊임없이 체술과 전투 수련을 해왔으며, 도깨비가 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수련을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식인을 통해 강해지는 것보다 훨씬 더디고 비효율적입니다.

무잔이나 도우마는 수련을 거의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련으로 강해진 아카자보다 압도적으로 강합니다. 이는 도깨비의 기본 성장 시스템이 식인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전투력의 핵심은 '호흡'

도깨비와 맞서 싸우는 귀살대는 전집중 호흡이라는 특수한 기술을 통해 인간임에도 도깨비와 대등한 전투력을 얻게 됩니다. 하지만 도깨비 중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술 체계를 익힌 자들이 존재합니다.

코쿠시보는 인간 시절부터 끊임없이 수련을 거듭하고, 도깨비가 된 이후에도 자기 발전을 멈추지 않은 희귀한 케이스입니다. 그는 도깨비 중 유일하게 ‘월의 호흡’을 사용하는 존재이며, 수련과 식인의 균형으로 완전체에 가까운 실력을 보여줍니다.


💀 도깨비의 본질은 '탐욕'

식인, 성장, 생존, 수련, 권력…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도깨비의 본질은 끝없는 욕망과 탐욕입니다. 무잔은 태양을 극복하여 불로불사를 얻기 위해 수천 명을 잡아먹고, 도우마는 인간을 음식처럼 생각하며 아무렇지 않게 소비합니다. 반면, 네즈코나 유시로처럼 인간성 일부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도깨비도 존재합니다.

결국 도깨비란 존재는 ‘무한히 강해지고자 하는 욕망’과 ‘먹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는 저주’의 양면성을 동시에 지닌 비극적인 괴물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