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작,창의,소설,스토리,세계관/클리셰 그 심오함에 대하여

[클리셰/창의,창조] 개요와 그의 유래 그리고 그에 따른 사용!!!

by 크리스탈카이 2024. 11. 3.

*** 나무위키를 중심으로 작성했습니다..****

출처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yMTAxMzBfMTgz%2FMDAxNjEyMDA4NDAzNDU4.lp8iG_e3WIFbCYFZiejfAmaRPbOYZV2Vu9Xf9ThXs6Mg.8Y66JfSw-B_3qgBzhmtDDpsSeg-9S8VYMHWRpAl_Hugg.JPEG.pusan008%2F%25B4%25D9%25BF%25EE%25B7%25CE%25B5%25E5.jpeg%25A3%25AD15.jpg&type=a340

 

 

클리셰의 뜻!!

 

클리셰(cliché[1])는 본래 인쇄 연판(鉛版)을 뜻하는

 프랑스어 어휘로, 지겹고 예측 가능한 진부한 표현, 

설정 또는 상황 등을 가리킵니다.

 


클리셰의 유래

 

본래 클리셰는 인쇄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를 위해 그때그때 

조판하는 수고를 덜도록 따로 조판 양식을 

지정해 놓은 것을 가리키는 인쇄 용어입니다. 

한국에서도 견통령을 비롯한 인쇄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대(大)·통(統)·령(領)의 3 활자를 하나로 

묶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하고 전송, 보관하는 현대에도 

이러한 기능은 계승되어 출판, 언론, 편집 분야에서는 

걸핏하면 오자가 나거나 잘못 쓰기 쉬운 한자어 등을 

컴퓨터 소프트웨어 내장 기능으로 상용구로 

등록해 쓰곤 한다.

위 의미에서 파생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기성품처럼 '진부한 표현',

 '상투적인 표현'을 가리키는 말로 뜻이 확대되었는데, 이는

 '틀에 박힌 표현'이라는 한국어 관용구와도 어원이 비슷하다.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뜻하는 영어의 스테레오타입(stereotype)도

유래가 정확히 같은 어휘이다. 다시 말해, 공교롭게도 '클리셰',

'스테레오타입', '틀에 박히다' 라는 표현 모두 '활자'에서 비롯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어 이조차도 클리셰의 한 예시가 된다는 점.

클리셰는 이후 더 나아가 여러 가지 공통된

경향을 가지는 상황 등을 총칭하는 말로 확대되었다.

후술하듯 한국에서 '클리셰'라는 말은 학술적 태도를 

견지하는 문학, 연극 및 예술 평론가들을 통해 먼저 유입되었고, 

대중도 이를 그대로 받아들여 리뷰에서 유행어처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종의 공식인 

트로프(trope)[4]도 모두 '클리셰'로 본의 

아니게 폄훼되는 경우도 있다.

 

클리셰에 이유없는 강력한 변신!!

 

시작은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 주는 기믹에서 출발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이를 모티브로 차용한 작가들에 의해 

하나의 클리셰가 만들어지고, 마지막으로 관습적, 

법적 확신까지 가세하면 불문율이 된다.

역사 속에서는 로마로 대표되는 유럽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한자문화권 세계의 '황제'

칭호가 이 과정을 밟아 왔습니다.

진시황과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독특한 기믹이었다면

후대 중세 국가에게는 하나의 클리셰가 되었고,

제국주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불문율이 된 것과 마찬가지.

영상물에서는 거의 관례처럼 굳은 연출을 가리킨다. 

그야말로 왕도적인 연출로 어느 정도 이상의 퀄리티를 

내게 해주긴 하지만 그만큼 제작자가 자신만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없단 말도 되므로 다소 부정적인 의미로 쓰였습니다.

아예 라스트 액션 히어로처럼 대놓고 클리셰만 추구하든가

조금씩 비튼다거나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잘 비틀면 스크림 같은 명작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코미디에서는 웃기기 위해 아예 대놓고 활용하기도 합니다.

주인공과 히로인을 포함한 주연, 단역들의

대표적인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리셰를 파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작가들이 자신도 모르게 따르는 방식 2순위입니다. 

참고로 1순위는 모티브입니다. 

당연히 전부는 아니고 몇몇 클리셰를 따르는데, 

그렇게 해야 작중 재미가 부여되기 때문. 

클리셰가 괜히 클리셰가 된 게 아닙니다.

사람들에게 잘 먹히니까 클리셰가 되는 겁니다.

'사람들은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라,

그들이 잘 알고 있는 친숙한 이야기가

조금 다르게 보여지는 것을 원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잘 설명하는 시나리오계의 명언은 '법칙을

깨트리기 위해서는 먼저 법칙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진 일부 클리셰들은

현실에서 편견 및 고정관념입니다.

나무위키에서는 사실은 지구였다&사실은 지구가 아니었다처럼 

고전적인 클리셰를 설명할 때 해당 클리셰의 전형적인 

반례를 동시에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서 결국 문서들이 난립하게 되고, 

클리셰라는 지칭을 남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나무위키에서 클리셰라고 쓰이는 것들은 

'trope'라고 불립니다.

이중에서 진부한 것들이 'cliche'입니다.

외국 사이트 중에 이 분야를 다루는 끝판왕은 

TV Tropes이 있습니다. 

다만 TV Tropes에서는 단순히 창작 활동의 기교인 

Tropes(문채(文彩))는 클리셰와는 다르며, 

그것이 이제 너무 뻔해져서 극의 몰입에 방해가 될 정도여야 

클리셰라고 합니다.

그리고 문채를 쓰거나 피하는 것은 전혀 나쁜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영화 평론가 듀나가 

본인 홈페이지에 클리셰 사전을 연재하면서

많이 알려졌습니다.

재미난 클리셰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으니 한 번쯤 들러보면 좋습니다.

Nostalgia Critic 역시 죽여주는 클리셰 11이라는

이름으로 동영상으로 업로드한 적이 있는데,

위키에 쓰인 전개에 대한 클리셰보다는

동영상 전문 리뷰어답게 흔히 나오는

연출을 클리셰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이 영상에서 클리셰 1위는 슬로우 모션입니다.

일본어로는 お約束, お決まり, パターン, 定番, ベタ, テンプレ

등의 단어로써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부 틀에 박힌 '전개'(내지는 묘사)만을

칭하는 단어가 아니라서 클리셰와 일대일

대응되지는 않으며, 상투적인 수단이나 행위, 또는

반복되는 일 등 넓은 의미로서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ベタ와 テンプレ에는 부정적인 어감이 있습니다.

 

 

 


한국의 서브컬쳐에서 말하는 클리셰란 

대개 진부하고 정형화된 전개를 말하지만 

그 범위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대개 좁은 의미의 클리셰로서 세세한 부분까지

수많은 작품에서 공유되는 설정을 클리셰라 부르며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만,

일부의 경우 엄청나게 넓은 범위로 클리셰를 정의하며

장르 자체를 클리셰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배틀물에서 싸운다는 것이 클리셰, 러브코미디에서

연애하면 클리셰, 디스토피아물에서 디스토피아가 나오면 클리셰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