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한국괴물,요괴,귀신119

[한국의 요괴] 대한민국 전승에 나오는 요괴로 여우가 천년을 살면 바로 메구가 된다!! 1. 매구의 정의와 기원 매구(魅狗)는 대한민국 민간전승에 등장하는 요호(여우 요괴)로, 천 년을 산 여우가 변한 존재입니다. 주로 구미호와 혼용하여 사용되는데, 명확한 구분이 존재하지 않아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역사적으로 한국 민간설화에서 매구는 '백여우', '불여우', '흑여우', '미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었으며, 지역마다 명칭의 차이가 있습니다.2. 매구의 명칭에 대한 국어사전적 의미 국어사전에서 '매구'는 세 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첫째, 천 년 묵은 여우가 변하여 된다는 전설상의 요괴를 가리킵니다.둘째, 풍물놀이에서 꽹과리를 뜻하는 지역 사투리입니다.셋째,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매파)을 일컫습니다.여기서 요괴 매구는 당연히 첫 번째 의미입니다.3. 매구와 구미호의 혼용과 차이 두.. 2025. 4. 22.
[한국의 요괴] 반신적인 존재이며 또한 도깨비 집단의 우두머리격으로 격이 높은 악귀 두억시니 1. 두억시니 개요두억시니는 한국 전통 요괴 중에서도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존재로, 표면적으로는 도깨비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면서도 보다 음습하고 사악한 이미지로 묘사되는 귀신입니다. 명칭 자체에서부터 비범함을 지니고 있는데, ‘두억(頭抑)’은 ‘머리를 누른다’는 뜻으로, 인간의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직결되는 특징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시니’는 신위(神位), 즉 신령의 위상에서 파생된 말로, ‘시니’ 자체가 ‘신’에서 변형된 민속어로 추정됩니다. 이는 곧 두억시니가 단순한 도깨비나 잡귀가 아닌, 일정한 위계와 힘을 가진 반신(半神)에 가까운 존재임을 시사합니다.이름의 표기는 ‘頭抑神’ 외에도 ‘斗億神’이라고도 하며, 후자는 그 신격을 좀 더 강조하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 2025. 4. 20.
[한국의 요괴] 한국 설화에서는 아주 드문 소환형 개념의 초자연적 병력 두병(豆兵) 다음은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한국의 신병형 요괴이자 소환체인 **두병(豆兵)**에 대해 더 세분화하여 설명한 내용입니다. 각 항목은 이해하기 쉽도록 구조화하였으며, 글자 수는 약 1500자 내외로 구성하였습니다.1. 정의 및 명칭 유래**두병(豆兵)**은 이름 그대로 ‘콩으로 이루어진 군사’를 뜻하며, 고대 신라의 고승 혜통 선사가 주문을 외워 소환한 **신령한 병사(神兵)**입니다. 이들은 일반 인간 군사가 아니라, 콩에 주문을 걸어 생겨난 존재로서, 요괴와 병마를 퇴치하는 초자연적 전사들입니다. 이들의 명칭은 콩 ‘두(豆)’ 자와 병사 ‘병(兵)’ 자를 결합하여 만들어졌습니다.본래 명칭은 **흑두병(黑豆兵)**과 **백두병(白豆兵)**으로 나뉘며, 각각 검은 콩과 흰 콩으로부터 소환된 병사들입니다... 2025. 4. 19.
[한국의 요괴] 고려시대에 민간신앙으로 믿던 목신(木神)-거대한 무리 두두리(豆豆里) 1. 개요: 나무신 두두리란 누구인가두두리는 신라와 고려 시기에 걸쳐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오랜 기간 숭배되었던 목신(木神), 즉 나무의 신입니다. ‘두두리’라는 이름은 순수 고유어로 보이며, 후대에는 ‘두두을(豆豆乙)’이라는 음차로도 표기되었습니다. 두두리는 단일 개체의 신령이라기보다는, 경주의 특정 지역(왕가수)과 밀접히 연관된 토속신적 존재로서, 공동체의 수호신이자 영묘(靈妙)를 주관하는 신령으로 기능했습니다.비형랑과의 연관성, 신라왕조의 신당 건립, 고려시대 무신정권에까지 그 전승이 이어진 것을 보면, 단순한 민담이나 신화적 존재가 아니라 정치적, 종교적, 민속적 기능을 모두 갖춘 실질적 신앙체계의 중심에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2. 어원 및 명칭 분석**‘두두리’**는 고유어 명칭으로.. 2025. 4. 1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