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괴물11

[한국의 요괴] 질병을 몰고 다니며 역병을 일으키는 사악한 악귀--저퀴 1) 개요저퀴는 질병을 몰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의 상상 속 존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씌이거나 오래된 폐가에 머물며 온갖 괴이한 현상을 일으키고 역병을 퍼뜨리는 사악한 악귀 또는 도깨비의 일종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람들은 저퀴를 두려워했으며, 질병이나 불행의 원인을 설명하는 존재로 여겼습니다. 저퀴는 한국의 여러 요괴나 귀신 이야기 속에서 등장하며, 특히 아이들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자주 묘사됩니다. 이러한 전승은 예로부터 질병과 죽음, 특히 어린아이들의 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에 사람들이 가졌던 불안감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저퀴에 대한 이야기는 주로 구전되거나 민담 형태로 전해져 내려오며, 기록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2025. 6. 9.
[한국의 요괴] 대형 털복숭이로 그키가 무려 수십척에 달하는 거대한 괴물 백두산 야차 1. 개요백두산 야차는 『어우야담』에 등장하는 괴물로, 이름 그대로 백두산 일대에 서식한다고 전해지는 대형 요괴입니다. 온몸에 털이 북슬북슬하게 덮여 있으며,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크기는 보통 인간의 수십 배에 달하는 거대한 존재입니다. 고전 설화 속에서 신립 장군이 늙은 여진인에게 들은 이야기로 전해지며, 백두산이라는 한국과 중국, 만주를 잇는 신령한 산의 신비로움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되기도 합니다.2. 전승과 기록백두산 야차는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등장하는 실전 구술 전승을 바탕으로 한 기록입니다. 신립(申砬) 장군이 직접 여진계 노인에게 들은 이야기로 전해지며, 설화적 요소가 강하게 드러나는 대목입니다.사냥꾼이 젊은 시절 백두산에 사슴 사냥을 나섰다가 이 괴물을 목격한 것으로 이야기의 핵.. 2025. 4. 24.
[한국괴물] 어둠을 실체화한 요괴로서 어둠속에서 한없이 거대한 것..그슨대 한국 요괴에 보면 그슨대라고 있는데 그것은 어둠을 실체화하는 요괴라고 나와 .. 또한 이름을 보년 그늘, 그믐 등의 단어에서 따온것 같애.. 그래서 어둠속에 선 거대한 것으로 추측대 네, 그슨대는 한국의 요괴 중에서도 굉장히 특이한 존재입니다.📌 그슨대란?"그늘", "그믐"과 같은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어둠을 실체화한 존재", 즉 어둠 그 자체가 요괴가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형태가 뚜렷하지 않지만, 거대한 그림자 혹은 어둠 속에서 무언가 응시하는 형상으로 묘사됩니다.📖 그슨대의 특성어둠과 하나가 된 존재그슨대는 빛이 없는 곳에서만 존재할 수 있으며,어둠이 짙어질수록 더욱 강력해진다고 합니다.형체 없는 거대한 존재정확한 모습이 없으며,사람들이 어둠 속에서 느끼는 공포 그 자체가 그슨.. 2025. 2. 13.
[한국괴물] 귀신들의 마왕, 전세계 전설, 설화, 신화에 등장하는 마왕들의 선조격이 되는 환상종 귀마왕(鬼魔王) 조선후기 순조시절 1814년 죽계거사 김소행이 쓴 고전소설 삼한습유에는 귀마왕이라고 나오거든..네! **"삼한습유(三韓拾遺)"**에서 등장하는 **귀마왕(鬼魔王)**에 대해 말하는군요.👹 귀마왕(鬼魔王)이란?귀마왕은 삼한습유에 등장하는 강력한 요괴로,**귀신(鬼)과 마귀(魔)의 왕(王)**이라는 이름답게 사악한 기운을 다스리는 존재입니다.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여러 귀신과 마귀들을 거느리는 왕처럼 묘사됩니다.사람을 홀리고 괴롭히며, 주술적인 힘을 사용한다고 전해집니다.📖 귀마왕이 등장하는 이야기1814년 **김소행(죽계거사)**이 지은 고전소설 삼한습유에서는 귀마왕이 등장하는데,귀마왕은 강한 주술적 힘을 가지고 있으며사람들의 정신을 빼앗고, 병을 일으키고, 심지어 조선을 위협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귀.. 2025. 2. 1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