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중국의 요괴 ] 눈알 수천 개가 달린 커다란 붉은 고깃덩어리 혹은 붉은 곰팡이 같은 모습을 하고 사람의 말을 하는 악신 테세(太歲) 신비롭고 위험한 존재, 태세 (太歲) 파헤치기태세는 중국의 고대 천문학, 점성술, 그리고 민간 신앙에 깊이 뿌리내린 신비로운 존재입니다. 때로는 신으로 숭배되기도 하고, 때로는 엄청난 재앙을 가져오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 복합적인 면모와 기원을 지금부터 항목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어원태세의 어원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에서 시작됩니다.가상적인 별의 개념태세는 원래 중국 점성학상으로 목성과 반대편에 위치한 가상의 별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실존하는 별이나 행성은 아닙니다만, 고대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습니다. 목성은 공전 주기가 약 11.862년으로, 대략 12년에 가까웠기 때문에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을 12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목성이 어떤 구역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 2025. 8. 20.
[중국의 요괴] 몸길이 무려 6백만미터에 달하는 붉은 룡이며 사람의 얼굴에 눈이 위 아래로 달린것이 특징 날씨를 다스리는 촉룡(燭龍) 1. 개요촉룡(燭龍)은 중국 고대 신화, 특히 『산해경』(山海經)에 등장하는 매우 거대하고 신비로운 존재입니다. 때로는 촉음(燭陰)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전설적인 용은 중국 대륙의 북방에 위치한 종산(鐘山) 혹은 종화산(鐘火山)이라는 영산에 서식한다고 묘사되고 있습니다. 촉룡은 단순한 생물이 아닌, 대자연의 거대한 섭리, 즉 계절의 변화나 기후의 흐름을 직접 주관하는 신성한 존재로 그려집니다. 세상의 질서가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밤낮없이 지켜보는 거대한 뱀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그 존재 자체가 세상의 근원적인 질서와 법칙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2. 어원촉룡의 이름인 '촉룡(燭龍)'과 또 다른 이름인 '촉음(燭陰)'은 그 존재의 특성을 명확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촉(燭)'은 '촛불.. 2025. 8. 19.
[중국의 요괴] 물고기의 몸에 길다란 닭의 다리를 가진 기괴한 요괴 초어(草魚) 산해경의 북산경에 등장했다는 아주 기이하게 생긴 물고기입니다.1. 어원초어(招搖魚)는 중국 고대의 지리서이자 신화집인 산해경(山海經)의 에 등장하는 상상 속의 물고기입니다. 초어의 이름은 '초(招)'와 '요(搖)'라는 두 글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한자가 지니는 의미는 이 기이한 존재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줍니다. '초(招)'는 손짓하여 부르거나 유인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초어가 단순히 존재하는 것을 넘어, 어떠한 힘이나 영향력을 가지고 대상을 끌어당기는 속성을 내포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고대인들이 자연의 신비로운 현상이나 알 수 없는 존재를 명명할 때, 그 존재가 지닌 특성을 이름에 담으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다음으로 '요(搖).. 2025. 8. 18.
[중국의 요괴] 호랑이에게 죽어 악령이 된 후에도 호환(虎患) 피해자를 만드는 귀신 창귀倀鬼)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에서 나오는 창귀!!1) 어원 창귀(倀鬼)라는 명칭의 어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이자 가장 널리 알려진 의미는 호랑이에게 목숨을 잃은 사람의 혼(魂)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이는 물려 죽었거나 잡아먹히는 등, 호랑이로 인한 죽음(호환, 虎患)을 당한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입니다. 한국의 민간 신앙에서는 이를 "홍살이 귀신"이라 부르기도 하며, 특히 태백 지역에서는 "가문글기"라는 더욱 토속적인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두 번째 의미는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혼, 즉 수귀(水鬼)를 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창귀'라는 단어 하나가 호랑이와 물이라는 다른 원인으로 죽은 두 종류의 귀신을 모두 가리키는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이러.. 2025. 8. 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