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 중국의 요괴 ] 하늘을 날아다니며 호랑이와 표범이 주식인 거대한 괴물 개 표견(䶂犬) 웹툰 호랑이형님에도 등장하는 이 표견은 날다람쥐처럼 앞다리에 날개가 달려있다.1. 개요표견은 연암 박지원의 한문 소설 『호질(虎叱)』에 등장하는 상상 속의 동물로서, 겉으로는 보잘것없어 보이나 호랑이의 천적으로서 막강한 힘과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호질』에서 표견은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묘사되며,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는다고 언급되어 그 존재감이 부각됩니다. 비록 짧은 언급이지만, 이 요괴는 『호질』이 담고 있는 풍자와 비판 정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당시 사회의 모순과 위선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표견은 단순히 강력한 존재를 넘어, 이야기의 깊이를 더하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 특이한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2. 어원표견(䶂犬)은 한자 그.. 2025. 8. 24.
[중국의 요괴] 산해경 동산경 중 동차이경 파트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 날개를 달려 있으며 천하가 크게 가문다고 하는 여우 폐폐(獙獙) 폐폐(獙獙): 중국 신화 속 가뭄을 부르는 날개 달린 여우 요괴시리야님,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국 고대 지리서이자 신화집인 『산해경(山海經)』에 등장하는 신비롭고도 두려운 요괴, ‘폐폐(獙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폐폐는 그 독특한 생김새와 함께 자연 현상, 특히 가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고대 중국인들의 자연관과 세계관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이 글을 통해 폐폐의 다양한 면모를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1. 개요폐폐는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신화집인 『산해경』 중 '동산경(東山經)'의 '동차이경(東次二經)' 파트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이 요괴는 단순히 기이한 생김새를 지닌 존재를 넘어, 세상에 큰 재앙을 가져올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2025. 8. 23.
[중국의 요괴] 나무의 정괴로 불리우며 사람의 얼굴에 꼬리가 없는 검은 개 팽후(彭侯) 나무의 정괴로 불리우면서 인간들이 이 요괴를 직접 먹었다는말이 무척이나 특히한 케이스입니다. 1. 팽후 소개팽후는 고대 중국의 요괴로, 특히 나무의 정령(정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전승에 깊이 뿌리내린 존재이며, 이웃 나라인 일본에서는 '호우코우(ホウコウ)'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팽후가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공유되는 요괴 문화의 한 부분임을 보여주는 특징입니다. 단순한 괴물이 아닌, 자연물, 특히 나무와 밀접하게 연결된 존재로 인식되었습니다. 이 요괴는 고대 중국인들이 자연에 대해 가졌던 경외심과 두려움, 그리고 때로는 실용적인 관점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1) 어원팽후(彭侯)라는 이름은 그 자체로 고대 중국에서 사용되던 명칭이며, 특정 한자의 조합을.. 2025. 8. 22.
[중국의 요괴] 검은 몸에 푸른 머리를 가졌으며 몸 길이가 무려 1,800미터인 거대한 뱀 요괴 파사(巴蛇) 중국 요임금 시대에 살았다는 거대 뱀 요괴 크기가 어마어마 합니다.1) 어원파사(巴蛇)는 이름 자체에 그 특징과 기원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파(巴)'는 고대 중국의 서쪽에 존재했던 파(巴)나라, 즉 현재의 쓰촨성(四川省) 지역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파사의 전설이 쓰촴성 지역의 전설로 전해진다는 기록과 연결되어 이 요괴가 쓰촨 지역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사(蛇)'는 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사라는 이름은 '파 지역의 뱀'이라는 직접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거대한 몸집과 두려운 존재감을 연상하게 합니다. 파사는 또한 '수사(水蛇)'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물 수(水)'자와 '뱀 사(蛇)'자를 사용하여 파사가 물에 사는 뱀, 즉 수중 요괴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 2025. 8. 2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