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718

[한국의 요괴] 무속에 등장하는 일조의 잡귀 허주(虛主) 허주(虛主): 거짓된 주인이자 공허한 그림자 1. 어원 허주(虛主)라는 이름의 어원을 한자(漢字)를 통해 깊이 있게 살펴보면 그 본질적인 속성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허주(虛主)는 '빌 허(虛)'와 '주인 주(主)'라는 두 글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글자인 '빌 허(虛)'는 '비어 있다', '공허하다', '실체가 없다', '거짓되다'라는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물질적인 공백 상태뿐만 아니라, 내용이나 본질이 결여된 상태를 상징하는 글자입니다. 두 번째 글자인 '주인 주(主)'는 '주인', '임자', '군주' 혹은 어떤 대상이나 영역을 지배하고 다스리는 핵심적인 존재를 의미합니다.이 두 글자를 합친 '허주'는 문자 그대로 '공허한 주인' 또는 '거짓된 주인'이라고 해.. 2025. 6. 29.
[한국의 요괴] 어마어마하게 거대해서 한나라보다 더 큰 크기의 메기나 고래 -해추(海鰌) 1. 개요해추는 제주도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설 속 거대한 해양 생명체입니다. 이 요괴는 그 크기가 한 나라 전체 또는 여러 나라를 합친 것과 같다고 묘사될 정도로 상상을 초월하는 거대함을 자랑합니다. 주로 메기나 고래와 같은 모습으로 상정되며, 바다 깊은 곳에 있는 거대한 구멍을 통해 드나들며 밀물과 썰물을 일으키는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해추가 난동을 부릴 때 발생하는 몸부림은 거대한 파도와 해일을 유발하여 인간 세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전해집니다. 머리에 있는 구멍으로 물을 빨아들이거나 내뿜는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물을 머리 속에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해추의 이야기는 자연 현상에 대한 고대 제주 사람들의 이해와 경외심을 반영하는 중요한 민속 자료입니다. 해추는 단순.. 2025. 6. 28.
[한국의 요괴] 발은 삵이나 고양이랑 닮았고 크기는 꿩보다 좀 작은 새 해중조(海中鳥) 1) 어원해중조(海中鳥)의 어원은 그 이름 자체에 핵심적인 정체성이 담겨 있습니다. 한자어로 풀어보면 바다 해(海), 가운데 중(中), 새 조(鳥) 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직역하면 '바다 가운데에 사는 새' 또는 '바닷속의 새'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중조가 육지가 아닌 광활한 바다를 주된 생활 터전으로 삼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명칭입니다. 일반적인 새들이 숲이나 들판, 강가에 서식하는 것과 달리, 이 새의 근본이 인간의 일상적인 관찰 범위를 벗어난 미지의 공간, 즉 바다에 있음을 강조합니다.이러한 이름은 단순한 서식지 표기를 넘어, 신비로움과 경외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망망대해는 예로부터 풍요의 공간이자 동시에 예측 불가능한 재앙이 시작되는 곳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따.. 2025. 6. 27.
[한국의 요괴] 구슬을 토해내는 자라 토주원(吐珠黿) 토주원(吐珠黿) 분석1) 어원‘토주원(吐珠黿)’이라는 명칭은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토(吐)’는 ‘토하다’, 즉 ‘내뱉다’를 의미하고, ‘주(珠)’는 ‘구슬’을 뜻합니다. ‘원(黿)’은 ‘자라’를 뜻하는 고한자어로, 일반적인 자라(龜)보다 크고 오래 산다는 특징을 지닌 존재입니다. 이를 종합하면, ‘토주원’은 ‘구슬을 내뱉는 자라’라는 의미를 가지며, 여의주와 같은 신성하거나 귀중한 보물을 내놓는 초자연적 존재로 해석됩니다.2) 전승이유이 전승은 신라 불교적 세계관과 중국 문화적 요소가 융합된 상징성을 전달하기 위해 구술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당대 신라와 당나라 간의 외교적 관계, 불교의 신비성, 그리고 여의주를 통한 영적 권위와 운명을 주제로 한 상징성이 복합적으.. 2025. 6. 2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