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196

[한국의 요괴] 어둡고 어두운 그곳에 순간적으로 보이는 요괴 어둑시니 어둑시니(어덕서니, 아독시니, 아둑시니)1. 개요어둑시니는 한국 민간전승에 등장하는 어두움을 상징하는 요괴입니다. 명칭은 지역에 따라 어덕서니, 아독시니, 아둑시니 등으로 불리며,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둑서니’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 존재는 귀신처럼 명확한 실체를 갖춘 존재라기보다는, 어두운 밤에 보이는 '헛것' 내지는 심상(心象)에 가까운 존재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어둑시니는 한국 전통설화에서 인간의 내면적인 공포와 무지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존재입니다.2. 어둑시니의 기원과 어원어둑시니는 ‘어둑하다’는 말에서 파생된 용어에 ‘시니(귀신, 神位)’라는 접미어가 결합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어둑하다’는 ‘제법 어둡다’는 의미로, 빛이 부족한 상태를 지칭하는 말이며, ‘시니’는 고대어에서 신령, 귀신, .. 2025. 5. 15.
[한국의 요괴] 염라대왕에 의해 몸이 빛나게 되어 지옥을 안내하는 역할 한다는 야광귀(夜光鬼) 1. 개요야광귀(夜光鬼)는 한국 전통 민속에 전해지는 귀신의 일종으로, 순 우리말로는 앙괭이 또는 암팽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존재는 전생에 지독한 욕심으로 남의 옷이나 재산을 빼앗고 가난한 이들을 헐벗게 만든 사람이 죽은 뒤, 벌로 태어난 귀신입니다. 이러한 업보로 인해 죽은 후에도 헐벗은 채 추위에 떨며 유랑하는 혼령으로 묘사됩니다.야광귀의 이름에는 설화적인 해석 외에도 언어적 유래가 존재합니다. 일설에는 **‘약왕(藥王)’**이라는 단어가 음운의 변화를 거쳐 **‘야광’**이라는 이름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설화보다 후대 민속 어원 해석에 가깝습니다.2. 외형 및 행동 특성야광귀는 항상 옷이 없고 추위에 떠는 형상으로 묘사되며, 몸에서 희미한 빛이 나는 귀신입니다. 이 빛은 본래 지.. 2025. 5. 13.
[한국의 요괴] 목을 매고 죽은 사람으로 원한의 끝이 하늘을 찌르는 액귀(縊鬼) 1. 액귀(厄鬼)의 개요액귀는 한자로 ‘厄鬼’라 쓰며, 직역하면 '재앙(厄)을 몰고 다니는 귀신(鬼)'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름 그대로 액운이나 불운을 따라다니게 하는 존재로,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거나 운을 막아 각종 사고나 고통을 유발하는 귀신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 민속에서 액귀라는 존재는 언급은 있으나, 그것이 구체적인 형태로 정립된 경우는 드뭅니다. 전통 설화나 야담, 민속신앙에서는 액귀라는 단어 자체보다는 그 개념에 해당하는 존재들이 ‘액’이나 ‘재액’, ‘불운의 기운’ 등으로 표현되며 등장해왔습니다. 그로 인해 액귀는 ‘존재는 하지만 정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귀신’, 다시 말해 “구석귀(鬼)”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2. 액귀의 종류: 일반 액귀와 목맨귀(縊鬼)액귀는.. 2025. 5. 10.
[한국의 요괴] 어린 아이의 혼령으로 무당 이상의 영험한 능력을 가졌지만 장난치는 것을 좋아하여 실제 사실과 틀리게 말하여 무당을 곤란하게 하는 새타니 한국의 요괴, 새타니에 대한 심층 분석1. 무속 신앙 속 새타니: 영험한 아이 귀신무속 신앙에서 '새타니'는 어린 나이에 죽은 아이의 혼령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특히 무당에게 신령한 힘을 내려주는 존재로 여겨지며, 주로 천연두와 같은 질병이나 굶주림으로 세상을 떠난 아이들의 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속계에서는 이들을 '태주(太主)'라고도 부르며, 이는 사전에도 주로 등재된 명칭입니다.새타니는 단순한 어린 귀신이 아닌, 특별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인식됩니다. 이들은 미래를 예측하거나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데 뛰어난 영험함을 보이며, 심지어 자손 번영이나 무병장수와 같은 조상신급의 능력까지 발휘한다고 전해집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힘을 가졌다는 믿음까지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한국민속.. 2025. 5. 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