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196

[한국의 요괴] [부계기문]에 등장하는 기이한 뱀이며 머리는 노루의 모습을 하고 있는 장두사(獐頭蛇) 1. 어원장두사(獐頭蛇)라는 이름은 한자에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獐(장)'은 노루를, '頭(두)'는 머리를, '蛇(사)'는 뱀을 뜻합니다. 따라서 장두사는 글자 그대로 '노루 머리를 한 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장두사의 가장 두드러진 외형적 특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은 장두사 이야기가 처음 기록될 당시부터 이 기이한 존재의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그 생김새를 짐작하게 하는 매우 직관적인 명칭입니다. 한국 설화나 요괴 이름 중에는 이처럼 생김새나 특징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두사 역시 그러한 명명 방식의 사례라고 생각됩니다. 이처럼 이름 자체가 존재의 속성을 담고 있어, 이야기를 처.. 2025. 6. 4.
[한국의 요괴] 조선민담집에 수록된 만년이나 산 쥐가 변신한 존재 일촌법사(一寸法師) 1) 어원**일촌법사(一寸法師)**라는 이름은 본래 한국 전승에서는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일본 설화의 ‘잇슨보시(一寸法師)’와는 무관한 이름입니다. 해당 명칭은 손진태의 『조선민담집』에 실린 설화 「김소년과 대도둑」을 일본어로 번역하면서 붙여진 이명으로, 본래는 무명(無名)의 요괴였습니다. ‘일촌’(一寸)은 약 3cm 정도 되는 작은 단위를 뜻하며, ‘법사’(法師)는 도력(도술)을 다루는 승려 또는 도사에 가까운 의미입니다. 그러나 실제 전승에서는 거대한 힘을 가진 쥐 요괴이므로 ‘작다’는 의미보다는 일본어 명칭을 그대로 가져온 형식적 이름이라 볼 수 있습니다.2) 전승이유일촌법사가 등장하는 설화는 단순한 판타지 복수극이라기보다, 당시 사회가 겪던 불안과 갈등, 권력에 대한 풍자적 요소가 담.. 2025. 6. 3.
[한국의 요괴] 사람의 얼굴을 가지고 있으며 신령들의 사자역할을 하거나 죽은 이들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 인두조수(人頭鳥獸) 1) 어원 (Etymology)인두조수(人頭鳥獸)라는 명칭은 그 자체로 요괴의 핵심적인 특징을 직관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사람 인(人)', '머리 두(頭)', '새 조(鳥)', '짐승 수(獸)'로 구성되어, '사람의 머리[人頭]를 하고 있으며 몸은 새[鳥] 혹은 짐승[獸]의 형태를 한 존재'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동양,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작명 방식 중 하나로, 대상의 외형적 특징이나 본질적 속성을 결합하여 명명하는 경우를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인두(人頭)'는 지혜와 이성, 감정 등 인간적인 특성을 상징하는 머리 부분이 인간의 것임을 강조하며, '조수(鳥獸)'는 그 외의 신체적 특징이 하늘을 나는 새이거나 땅을 달리는 짐승의 모습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 2025. 6. 2.
[한국의 요괴] 세상 그 누구보다 고귀하며 전승에 따라 악당이 되기도 하고 구세주가 되기도 하는 이무기의 또다른 이름 이시미 1) 어원이시미는 한국의 요괴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가 가진 정보에 따르면, 이시미는 '이무기'의 강원도 방언이거나 또는 이무기의 한 종류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6]. 즉, 이시미라는 이름 자체는 '이무기'라는 더 널리 알려진 존재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이무기는 본래 용이 되지 못한 큰 구렁이나 뱀을 뜻하는데, 이시미 역시 이러한 이무기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시미'라는 이름은 지역적인 특색이 반영된 이무기의 다른 명칭이거나, 혹은 이무기 범주에 속하는 특정 개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어원적 연결성은 이시미가 가진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배경을 더욱 공고히 합니다.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한 오랜 기다림이나 실패를 상징하듯이, 이시미 역시 물.. 2025. 6. 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