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중국의 요괴11

[ 중국의 요괴 ] 우마왕과 나찰녀에 태어난 아들로서 화염산의 정기를 받고 300년간 수련을 거듭해 삼매진화라는 강력한 술법을 사용하는 홍해아(紅孩兒) 서유기에 등장하는 홍해아.. 아마도 이자야 말로손오공에게 가장 강력한 존재중 하나임에는 틀림없을 것으로 보입니다.홍해아의 개요 해아는 중국 고전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주요 요괴 중 하나입니다. 그는 우마왕과 나찰녀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주인공 손오공과는 의형제 관계로 엮여 있어 조카뻘이 되는 인물입니다. 붉은 어린아이를 뜻하는 아명(兒名)처럼, 외모와 성격 모두 어린아이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매진화라는 강력한 술법을 사용하여 손오공 일행에게 엄청난 고난을 안긴 강력한 요괴로 묘사됩니다. 홍해아는 단순히 힘이 센 요괴를 넘어, 《서유기》의 중후반부 전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결국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관세음보살의 시중을 드는 선재동자가 되는 극적인 변화를 겪는 인물입.. 2025. 9. 3.
[중국의 요괴] 불에도 타지 않는, 표범과 비슷한 괴수의 일종. 풍생수(風生獸) 표범처럼 생겼으며 불에 타지 않으며 불사의 몸을 가졌지만 ..풍생수에 대한 상세 설명1) 어원풍생수(風生獸)의 어원은 중국 한자에서 유래합니다. '풍(風)'은 바람을 의미하고, '생(生)'은 태어나다 또는 생명을 뜻하며, '수(獸)'는 짐승이나 동물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바람으로 태어나는 짐승' 또는 '바람이 불면 살아나는 짐승'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이름은 이 요괴의 주요 특징인 바람을 통해 부활하는 능력을 반영합니다. 중국 고전 문헌에서 이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송대 도교 서적인 『운급칠첨(雲笈七籤)』으로, 여기서 풍생수는 불사신 같은 존재로 묘사됩니다. 또한 풍리(風狸)라는 별칭이 있으며, '狸'는 너구리나 담비를 뜻하는 한자로, 외모가 담비나 너구리와 유사하다는 점을 .. 2025. 8. 25.
[중국의 요괴 ] 눈알 수천 개가 달린 커다란 붉은 고깃덩어리 혹은 붉은 곰팡이 같은 모습을 하고 사람의 말을 하는 악신 테세(太歲) 신비롭고 위험한 존재, 태세 (太歲) 파헤치기태세는 중국의 고대 천문학, 점성술, 그리고 민간 신앙에 깊이 뿌리내린 신비로운 존재입니다. 때로는 신으로 숭배되기도 하고, 때로는 엄청난 재앙을 가져오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 복합적인 면모와 기원을 지금부터 항목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어원태세의 어원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에서 시작됩니다.가상적인 별의 개념태세는 원래 중국 점성학상으로 목성과 반대편에 위치한 가상의 별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실존하는 별이나 행성은 아닙니다만, 고대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습니다. 목성은 공전 주기가 약 11.862년으로, 대략 12년에 가까웠기 때문에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을 12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목성이 어떤 구역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 2025. 8. 20.
[중국의 요괴] 중국 당나라 『유의전(柳毅傳)』에 등장하는 거대한 용, 무려 1,000척이 넘는 용 전당군(錢塘君) 중국의 요괴중 가장 크고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할것 같습니다.1) 어원전당군의 어원은 중국 고전 소설인 『유의전(柳毅傳)』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나라 시대의 전설적인 용왕을 가리킵니다. '전당(錢塘)'은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전당강(錢塘江)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이 강은 역사적으로 큰 홍수와 조수 현상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군(君)'은 군주나 영주를 의미하는 한자로, 용왕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존칭입니다. 이 이름은 실제 지명과 신화적 요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고대 중국에서 자연현상을 신화화하는 전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전당군은 당나라 소설가 이조위(李朝威)가 창작한 인물로, 그의 소설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다양한 민간 전승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어원은 단순한 지명에서.. 2025. 8. 1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