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중국요괴15

[ 중국의 요괴] 모질고 사나운 운수를 가져오는 귀신, 목을 매고 죽은 사람의 귀신 액귀(縊鬼) 액귀(縊鬼) 종합 분석1) 어원액귀(縊鬼)의 어원은 한자 '縊(액)'과 '鬼(귀)'의 결합에서 비롯됩니다. '縊'는 목을 매어 죽인다는 의미를 가진 한자로, '糸(실 사)'와 '益(더할 익)'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는 실이나 끈으로 목을 조이는 행위를 형상화한 것으로, 자살의 한 방법인 목맴을 직접적으로 표현합니다. '鬼'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나 귀신을 의미하는 한자로, 사람의 형상을 한 무서운 모습을 나타냅니다.따라서 액귀는 문자 그대로 '목을 매어 죽은 귀신'을 의미하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중국에서는 '액사귀(縊死鬼)'라고도 불리며, 일본에서는 '수시령(首死靈)'이라는 유사한 개념이 존재합니다. 한국에서는 '목매귀신' 또는 '목맨귀신'이라는 순우리말 표현과 함께.. 2025. 8. 2.
[중국의 요괴] "물 호랑이"라는 뜻을 가졌으며 물속에 오직 무릎만 수면 위로 노출시킨 채 누군가 다가오기를 기다리는 수호(水虎) 수호(水虎) 신화 분석어원어원수호라는 이름은 중국어로 '물호랑이'를 의미하며, '수(水)'는 물을, '호(虎)'는 호랑이를 가리킵니다. 이 이름은 수호가 물속에 서식하며 호랑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요괴로 묘사된 데서 유래했습니다. 중국의 고서인 《본초강목》과 《양면기》에서 수호는 물과 호랑이의 특성을 결합한 존재로 기록되며, 이는 수호의 강인함과 신비로운 성격을 강조합니다. 일본에 전파된 후에는 '스이코(水虎)'로 불리며, 캇파와 혼동되거나 동일시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어원은 수호가 물과 육지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줍니다.전승 이유전승 이유수호 신화가 전승된 이유는 고대 중국 사회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물이라는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를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2025. 7. 28.
[중국의 요괴] 아홉개의 인간의 머리가 달린 뱀의 형상을 한 요괴 상류(相柳) 1) 어원전승의 기원상류(相柳)라는 이름은 중국 고대 문헌인 《산해경(山海經)》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상(相)’은 ‘서로’, ‘유(柳)’는 ‘버드나무’를 의미하나, 실제 형상은 버드나무와 무관한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뱀입니다. 이는 음차 표기나 의역일 가능성이 높으며,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합니다. 다만 ‘아홉 개의 머리’라는 특성에서 ‘구두(九頭)’ 또는 ‘구면(九面)’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물’과 관련된 공공(龔公)의 부하로 묘사되는 점에서 수해(水害)의 상징으로 해석됩니다.2) 전승이유신화의 사회적 기능상류 전설은 고대 중국 사회에서 홍수와 치수(治水) 문제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자연 재해를 신의 분노로 인식했으며, 상류의 등장은 과도한 탐욕과 파괴적 본능이 초래하는 재앙.. 2025. 7. 25.
[중국의 요괴] 푸르스름한 푸른 빛을 띄며 색상 변이로 추정되는 블루 타이거 청호(靑虎) 중국의 요괴로 알려졌지만 속속 목격담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실제로 실존하는 호랑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남중국 호랑이로도 불리우며 특히 중국의 푸젠성에서 목격담이 잦다고 합니다. 블루 타이거(청호) 보고서어원블루 타이거, 혹은 청호(靑虎)라는 이름은 그 독특한 푸른빛 털에서 유래했습니다. ‘청호’라는 한자어는 ‘푸른 호랑이’를 뜻하며, 중국과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 신비한 동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영어로는 ‘Blue Tiger’로 불리며, 이는 남중국호랑이(Panthera tigris amoyensis)의 색상 변이 개체로 추정되는 크립티드(cryptid, 미확인 생물)입니다. ‘청(靑)’은 푸른색을 상징하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신성함, 고귀함, 그리고 신비로움을 나타내는 색으로 여겨.. 2025. 7. 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