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의 괴물,요괴,귀신/한국괴물,요괴,귀신119

[한국의 요괴/소설속 설정]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도깨비 또는 요괴로 비형랑의 말을 잘 따르는 길달(吉達) 소설 속 주인공으로서의 길달(吉達) 설정1. 기본 설정이름: 길달 (본명 불명, 인간 사회에서는 ‘길달’로 불림)종족: 도깨비 (혹은 여우 요괴)연령: 500세 이상 (신라 시대부터 생존)외형: 인간과 비슷하지만 날카로운 여우 같은 눈빛, 긴 은빛 머리, 그리고 희미하게 드러나는 여우의 꼬리능력: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존재로, 강력한 도깨비 마법과 변신 능력을 사용2. 배경 이야기길달은 본래 신라 시대, 비형랑과 함께하던 도깨비 중 하나였다. 비형랑의 추천으로 신라 왕실의 집사가 되었으나, 인간 사회에 점점 염증을 느끼고 탈출했다. 그 과정에서 여우로 변신해 도망쳤다는 소문이 퍼지며, 사람들은 그를 배신자로 여겼다.그러나 진실은 달랐다. 그는 인간의 탐욕과 배신을 견디지 못하고 떠난 것이었다. 결국, 길.. 2025. 3. 23.
[한국의 요괴/소설속 설정] 제주도의 정통 귀신이며 주젱이라는 제주도 우장을 뒤집어 쓴채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요괴 그슨새 제주도의 정통 요괴와 귀신 정리1. 제주도의 요괴와 귀신 개요제주도는 특유의 지리적, 문화적 환경을 바탕으로 독특한 요괴와 귀신 신앙을 발전시킴.‘새(邪)’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사악한 기운이나 원한이 맺힌 존재들을 의미함.그슨새, 그슨대, 주젱이 등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요괴와 귀신들이 있음.2. 주젱이 – 제주도의 우장을 쓴 요괴특징: 제주도의 전통 우비인 ‘주젱이’를 뒤집어쓰고 돌아다니는 존재.기원: 과거 제주도에서는 살인죄를 지은 죄인들에게 주젱이를 씌우는 풍습이 있었음.이러한 죄인들이 죽어서 요괴가 되었다는 설이 있음.성격: 원한과 죄의식이 얽힌 요괴로,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가짐.유사 요괴: 일본의 ‘카사오바케(우산 요괴)’와 비슷하지만, 단순한 도깨비적 존재가 아니라 원.. 2025. 3. 22.
[한국의 요괴/소설 속 설정] 어둠을 실체한 존재로 사람을 직접으로 살해하는 극함의 요괴 그슨대 한국 요괴 ‘그슨대’에 대한 정리1. 그슨대의 정의와 특징‘그슨대’는 어둠을 실체화한 요괴로, 이름은 ‘그늘’이나 ‘그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음.‘어둠 속에 선 거대한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두려움과 공포를 주는 존재.어둠을 상징하는 또 다른 한국 요괴인 어둑시니와 유사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음.2. 어둑시니와의 차이점어둑시니는 사람을 놀래키는 장난스러운 요정과 같은 존재.그슨대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살해하는 ‘악귀’에 가까운 존재.일부에서 그슨대를 고려 시대의 수호신 또는 토착신으로 숭배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어둑시니와 혼동된 오해로 보임.3. 그슨대의 역사적 언급최초 기고글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2002년 이전에도 그슨대의 존재가 언급됨.2002년 발간된 《나, 황진이》 및 200.. 2025. 3. 21.
[한국의 요괴] 귀신과의 성관계로 태어난 아기...그가 바로 귀태(鬼胎)다!!! 귀태와 캠비온의 소설속 설정들.. 동양의 귀태에 대해 이야기하고 귀태를 소설속 설정 그리고서양의 캠비온에 대한 소설속 설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귀태(鬼胎)"라는 용어는 한국의 무속이나 전통적인 신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귀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를 의미합니다. 비유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본래의 개념은 무속적인 믿음에 가깝죠.귀태의 특징과 설화신비로운 능력귀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로, 일반 인간과 외형적으로는 다를 바 없으나, 귀신을 보고 소통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여겨집니다.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권에서도 비슷한 개념이 존재하는데, 일본의 "온묘지(陰陽師)" 전설 속에서도 유사한 존재가 언급됩니다.비형랑 설화 (신라 시대)신라의 진지왕(眞智王)이 죽은 후에도 도화녀(桃花女)의 꿈속에 나타나 그녀와 교합하여 비형랑.. 2025. 3.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