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독각귀2

[한국의 요괴] 외다리로 다니며 삿갓을 쓴 한국형태의 귀신 - 독각귀(獨脚鬼) 1. 외형독각귀는 한쪽 다리로 걷는 귀신으로, 눈빛은 불처럼 이글거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괴하면서도 위협적인 외형을 지닌 존재입니다.비정상적인 신체 구조로 인해 움직임이 불규칙하고 기묘합니다.2. 기원독각귀는 한국 토종 요괴가 아닌 중국에서 기원한 귀신입니다. 이후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져 각국의 민간신앙과 결합하였습니다.3. 특징흥미롭게도 독각귀는 구미호, 용처럼 공통점이 많은 요괴들과 달리 나라별로 특징과 능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문화마다 서로 다른 요괴처럼 여겨집니다.4. 한국의 독각귀한국에서는 공포의 상징이자, 밤길에서 마주치면 재앙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집니다. 5. 복장몸에는 낡고 거친 도롱이를 걸치고 있으며, 머리에는 넓은 삿갓을 써서 얼굴을 가립니다. 이는 정체를 숨기기 위한 것.. 2025. 4. 17.
[한국의 요괴/소설속 설정] 제주도의 정통 귀신이며 주젱이라는 제주도 우장을 뒤집어 쓴채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요괴 그슨새 제주도의 정통 요괴와 귀신 정리1. 제주도의 요괴와 귀신 개요제주도는 특유의 지리적, 문화적 환경을 바탕으로 독특한 요괴와 귀신 신앙을 발전시킴.‘새(邪)’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사악한 기운이나 원한이 맺힌 존재들을 의미함.그슨새, 그슨대, 주젱이 등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요괴와 귀신들이 있음.2. 주젱이 – 제주도의 우장을 쓴 요괴특징: 제주도의 전통 우비인 ‘주젱이’를 뒤집어쓰고 돌아다니는 존재.기원: 과거 제주도에서는 살인죄를 지은 죄인들에게 주젱이를 씌우는 풍습이 있었음.이러한 죄인들이 죽어서 요괴가 되었다는 설이 있음.성격: 원한과 죄의식이 얽힌 요괴로,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가짐.유사 요괴: 일본의 ‘카사오바케(우산 요괴)’와 비슷하지만, 단순한 도깨비적 존재가 아니라 원.. 2025. 3. 22.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