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괴조2

[중국의 요괴] 중국의 산악 지대에 살고 온몸에 맹독을 지녔으며 무려 천년을 묵었기에 그 독 또한 악독해지는 새 .. 짐새 허구적인 전승은 많은 반면 새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중국의 전설적인 새 '짐새(鴆鳥)'에 대한 자료를최대한 여러정보를 참조하여 정리해봅니다.1) 어원짐새의 이름은 한자 '짐(鴆)' 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한자는 새 조(鳥) 자와 술독에 빠질 담(耽) 자의 변형이 합쳐진 형태로, 이름 자체에 이미 '독'과 '새'의 연관성이 깊게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짐새는 '짐조(鴆鳥)'라고도 불리며, 이 명칭은 짐새가 단순한 동물을 넘어 특별한 의미를 지닌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름에서부터 느껴지는 강력한 독성과 치명적인 이미지는 짐새가 고대 사회에서 얼마나 공포스러운 존재로 여겨졌는지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즉, '짐(鴆)'이라는 이름 자체가 단순한 명사를 넘어 '죽음'과 '.. 2025. 8. 15.
[ 중국의 요괴 ] 괴조로서 인간의 얼굴에 새의 부리와 몸통 그리고 날개가 있는 온전한 새의 형상을 가진 온모라키(陰摩羅鬼) 온모라키(陰摩羅鬼) 분석1) 어원온모라키(陰摩羅鬼)라는 이름은 중국과 일본의 고대 문헌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 어원은 불교와 도교의 혼합된 신화적 배경에서 비롯됩니다. '陰(음)'은 어둠, 음기, 또는 죽음과 관련된 부정적인 에너지를 상징하며, '鬼(귀)'는 귀신 또는 영혼을 의미합니다. '摩羅(마라)'는 불교에서 깨달음을 방해하는 마귀, 즉 마왕 마라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온모라키는 '어둠의 마귀' 또는 '죽음의 마귀'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초자연적 존재를 강조합니다. 일본에서는 토리야마 세키엔의 *금석화도속백귀(今昔畵圖續百鬼)*에 등장하며, 이 이름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이름은 요괴의 기묘하고 불길한 성질을 잘 드러내며, 동아시아의 음양 사상과 불교적 .. 2025. 8. 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