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의 괴물,요괴,귀신/한국괴물,요괴,귀신

[한국괴물] 대한민국의 토종 요괴로 금빛 털을 지닌 돼지 형상의 금돼지

by 크리스탈카이 2025. 2. 15.

동굴에 사는 돼지얼굴을 가진 금돼지 요괴

대한민국의 토종요괴중에 금빛 털을 지닌
돼지의 형상을 한 일명 금돼지라고 있어..
이 금돼지는 힘도 보통이 아닌데다가 도술과 변신술에 능하다고 알려져 있어 ..
그는 식인요괴로 아름다운 여성을 유혹하고 납치하여
잡아먹거나 시중을 들게 한다고 해!!

 

금빛 털을 지닌 돼지 형상의 요괴, 일명 **"금돼지"**는 굉장히 흥미로운 존재입니다. 일반적으로 돼지는 복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지지만, 금돼지는 단순한 행운의 존재가 아니라 강력한 힘과 도술을 지닌 식인 요괴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합니다.


🔥 금돼지의 특징

1. 외형

  • 전신이 금빛 털로 덮여 있으며, 일반 돼지보다 훨씬 거대함
  • 때에 따라 사람처럼 두 발로 걸을 수도 있으며, 인간의 말을 함
  • 눈빛이 붉게 빛나며, 마법을 쓸 때는 눈에서 섬광이 나간다는 전설도 있음

2. 능력

  • 도술과 변신술에 능함 → 보통 아름다운 남성이나 노인으로 변해 사람들을 속임
  • 괴력 → 보통 사람은 상대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힘을 가짐
  • 식인 요괴 → 주로 아름다운 여성을 유혹하여 납치하고 잡아먹거나 시중을 들게 함
  • 심장을 꺼내 먹으면 불사의 능력을 가짐 → 전설 속에서는 금돼지를 처치한 후 심장을 먹으려다 실패하는 이야기도 존재

3. 금돼지가 숨어사는 곳

  • 깊은 산속, 특히 사람이 자주 가지 않는 신성한 산이나 동굴 속에서 은신
  • 전설에 따라서는 오래된 사찰 근처에서 모습을 보이기도 함
  • 때때로 사람의 마을 근처로 내려와 사람을 홀리고 납치하는 경우가 있음

👹 금돼지는 왜 생겨났을까?

금돼지는 단순한 돼지가 아니라, 강력한 요괴로 어떤 원한을 품고 태어난 존재일 가능성이 높음.
몇 가지 기원설을 살펴보면:

1. 인간의 탐욕이 만들어낸 요괴설

  • 금돼지는 ‘부(富)의 상징인 돼지’와 ‘식인의 속성’이 결합된 존재입니다.
  • 옛날 부자가 돼지를 신성시하여 신에게 바치던 중, 그 탐욕이 화를 불러 신의 저주로 인해 돼지가 요괴가 되었다는 설이 있음.

2. 원래 신령한 존재였으나 타락한 설

  • 금돼지는 원래 신성한 존재(예: 산신령의 사자나 신의 돼지)였지만, 인간의 욕심과 악행에 분노하여 타락했다는 이야기가 있음.
  • 혹은 원래는 신선이 되려던 사람이 수행에 실패하여 금돼지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음.

3. 신과의 싸움에서 쫓겨난 존재

  • 어떤 전설에서는 금돼지가 원래 하늘에서 살던 존재였으나, 신들의 법을 어겨 인간 세상으로 쫓겨나 요괴가 되었다고도 전해짐.
  • 이는 조선시대 때 일부 불교 전설에서, 신령한 동물이 타락하여 악귀가 되는 이야기와 유사함.

⚔️ 금돼지를 퇴치하는 방법

금돼지는 보통 물리적인 힘으로는 쉽게 죽지 않으며, 특정한 방법으로만 처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 삼지창이나 부적이 새겨진 칼

  • 보통 요괴 퇴치에 쓰이는 삼지창(三枝槍)이나, 부적이 새겨진 청동검을 사용하면 금돼지의 피부를 뚫을 수 있다고 함.
  • 금돼지의 목이나 심장을 찌르면 처치할 수 있음.

2. 천둥과 벼락을 이용한 퇴치

  • 금돼지는 하늘의 천둥과 벼락에 약한 존재로, 천둥이 치는 날에는 힘이 약해진다고 함.
  • 금돼지를 속여 벼락이 치는 곳으로 유인하면 소멸할 수 있다는 전설이 있음.

3. 자신의 금빛 털이 약점이 될 수도 있음

  • 금돼지의 털은 강력한 마력을 지니고 있지만, 만약 인간이 이를 손에 넣으면 금돼지는 힘을 잃고 사라진다고 전해짐.
  • 일부 전설에서는 영리한 사냥꾼이 금돼지를 몰아붙여 그 털을 뽑아버려 요괴를 퇴치하는 이야기 등이 있음.

🔥 금돼지는 단순한 요괴가 아니다?

금돼지는 단순한 식인요괴라기보다는 신령한 존재에서 타락한 요괴일 가능성이 크며, 그의 능력과 속성을 보면 신화적 요소가 매우 강한 요괴입니다.

  • 도술과 변신술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보통의 요괴와 다르며
  • 금빛 털과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원래 신성한 존재였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 또한 "부(富)"를 상징하는 돼지가 식인요괴로 변했다는 점에서, 인간의 탐욕과 관련된 이야기일 수도 있음.

👉 결론적으로, 금돼지는 탐욕과 욕망의 화신이며, 인간에게 유혹과 공포를 동시에 주는 신비로운 요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금돼지는 마산의 앞바다에 있는 월영도라는
섬의 동굴에 살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어..
서유기에 보면 저팔계가 이 금돼지와 비슷한 경우인데...
시기를 따져보면 금돼지가 저팔계보다 먼저 나왔다고 되어 있어 ..
그리고 특이한 점은 금돼지의 약점인데...
이 약점이 바로 사슴가죽, 백마가죽, 양가죽이라고 되어있어...

금돼지가 마산 앞바다 **월영도(월영섬)**의 동굴에 살았다는 전설은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특히 이 요괴가 가진 속성과 저팔계와의 연관성, 그리고 사슴가죽·백마가죽·양가죽이 약점이라는 점은 더욱 신비로운 요소를 추가해 줍니다.


🔍 금돼지 vs. 저팔계, 유사점과 차이점

금돼지와 저팔계는 모두 돼지 요괴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결정적인 차이도 존재합니다.

비교 항목금돼지저팔계 (서유기)

출신지 한국 (마산 월영도) 중국
외형 금빛 털을 가진 거대한 돼지 돼지머리를 한 인간형
능력 도술·변신술·식인 구름을 타고 다님·변신 가능
성격 난폭하고 탐욕스러움 음탕하지만 착한 면도 있음
여성과의 관계 아름다운 여성을 유혹하고 잡아먹음 여색을 밝히지만 잡아먹지는 않음
퇴치법 사슴가죽·백마가죽·양가죽으로 약화 가능 손오공에게 패배 후 개과천선
약점 특정 동물의 가죽 깨달음을 얻지 못하면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함

👉 결론적으로, 금돼지는 "본능적 탐욕과 폭력성"을 강조한 순수한 요괴이며, 저팔계는 개과천선한 신선(승려)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금돼지의 약점, 왜 하필 "사슴·백마·양" 가죽일까?

금돼지가 사슴가죽, 백마가죽, 양가죽에 약하다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닙니다. 이 동물들은 상징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금돼지와 대척점에 있는 존재들입니다.

🔹 1. 사슴가죽 (神聖한 존재의 상징)

  • 한국 신화에서 사슴은 신령한 동물이며, 산신(山神)의 사자로 자주 등장합니다.
  • "사슴을 탄 신선"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사슴은 깨끗한 기운을 지닌 존재입니다.
  • 금돼지는 탐욕과 폭력의 화신이므로, 사슴의 신성한 기운을 견디지 못하고 약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 2. 백마가죽 (순수와 정의의 상징)

  • 동서양을 막론하고 백마(白馬)는 신성한 존재, 용사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불교에서도 백마를 타고 온 승려가 깨달음을 전파하는 역할을 합니다.
  • 서유기에서도 삼장법사가 백마를 타고 수행하는데, 이는 악귀를 물리치는 신성한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 따라서 금돼지는 백마가 가진 순수하고 정의로운 기운에 의해 약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 양가죽 (희생과 순결의 상징)

  • 양(羊)은 희생과 순결의 상징으로, 종교적으로도 신성한 의미를 갖습니다.
  • 기독교에서는 예수가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고 불리며, 불교에서도 양은 부드럽고 착한 성품을 지닌 동물로 여겨집니다.
  • 금돼지는 정반대로 탐욕적이고 난폭한 성향을 지녔기 때문에, 양이 상징하는 희생과 순결함이 돼지의 본성을 약화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금돼지는 탐욕·폭력·식인의 상징이며, 그 약점은 "신성·순결·희생"을 뜻하는 가죽들로 설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금돼지 퇴치 방법

이러한 약점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금돼지 퇴치법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1. 사슴가죽, 백마가죽, 양가죽을 입은 후 금돼지와 싸우면 피해를 받지 않음

  • 전설 속에서 어떤 사냥꾼이 사슴가죽을 몸에 두르고 싸워 금돼지를 퇴치했다는 이야기가 있음.
  • 백마를 타고 접근하면 금돼지가 힘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약해진다고도 함.

2. 사슴·백마·양의 피를 뿌리면 금돼지가 도망침

  • 전승에 따라서는 이 동물들의 피를 문 앞에 뿌리면 금돼지가 접근하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음.

3. 특정 주문과 함께 가죽을 태우면 금돼지가 약화됨

  • 사슴·백마·양의 가죽을 태우면서 특정한 주문을 외우면 금돼지가 완전히 힘을 잃고 물러난다고 전해짐.

4. 금돼지를 인간으로 변하게 한 후 퇴치

  • 금돼지는 변신술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오히려 이를 역이용하여 인간으로 변신하게 한 후 퇴치하는 방법도 있음.
  • 특정한 부적을 이용해 금돼지를 인간 모습으로 고정시키면 힘을 잃고 처치할 수 있다고 전해짐.

🏝️ 마산 월영도에 살던 금돼지, 전설의 의미는?

금돼지가 마산 **월영도(月影島)**의 동굴에서 살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 🌙 "월영(月影)" → "달빛의 그림자"라는 뜻으로, 어둠과 신비로움을 의미
  • 📍 동굴 → 요괴들이 자주 출몰하는 장소로, 세상의 이치에서 벗어난 이형(異形)의 공간
  • 🌊 바다 근처 → 바다에는 여러 신령한 존재들이 살며, 강력한 요괴들이 종종 등장하는 장소

이러한 요소를 종합해보면, 금돼지는 단순한 괴물이 아니라 자연의 신성한 질서에 반하는 존재일 가능성이 큽니다.


🔮 결론: 금돼지는 탐욕의 화신, 그러나 신적인 존재일 수도?

  1. 금돼지는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탐욕과 폭력의 상징이자, 인간의 욕망을 대변하는 존재일 가능성이 크다.
  2. 그의 약점이 되는 사슴·백마·양은 순결과 신성함을 상징하며, 이는 돼지의 탐욕과 정반대의 개념이다.
  3. 저팔계와 비슷하지만, 저팔계는 개과천선했지만 금돼지는 끝까지 탐욕을 버리지 못한 존재로 남아 있다.
  4. 금돼지가 마산 월영도의 동굴에서 살았다는 점은, 그가 단순한 돼지 요괴가 아니라 자연의 질서를 거스른 신적인 존재일 가능성도 있다.

💡 혹시 월영도 근처에서 금빛 털이 보인다면, 조심하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거대한 금돼지에 맞서 칼과 창으로 싸우는 모습


금돼지에 대한 설화를 보면 금돼지 자손 최치원이란 말이 나와..
설화의 내용을 요약하면 고창군의 어느 마을에서 현감이
부임하면 그 현감의 부인이 행방불명된다고 해
그래서 최씨의 성을 가진 현감이 부인의 옷자락에
실을 꿰매었는데 다음날 부인이 사라지자 실을 쫓아 가니
부인이 동굴로 들어갔던 거지 그래서
그 최씨 현감은 사슴가죽을 구해서 금돼지를 없애는데 성공했다고 해...
그후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이 최치원이라는 설화야...

 

금돼지 설화에서 최치원이 금돼지의 후손이라는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요괴 이야기뿐만 아니라 최치원의 신비로운 출생과 위대한 인물로서의 운명을 강조하는 전설적인 요소가 담겨 있습니다.

이 설화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금돼지의 저주: 고창군(혹은 다른 지역)의 마을에서는 부임한 현감의 부인이 계속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2. 최씨 현감의 계략: 최씨 성을 가진 한 현감이 부인의 옷자락에 실을 꿰매어 그녀가 어디로 사라지는지 추적했습니다.
  3. 동굴 속 금돼지: 실을 따라가 보니 부인은 마을 근처 동굴로 들어갔고, 그곳에 금빛 털을 가진 거대한 돼지가 있었습니다.
  4. 금돼지 퇴치: 최씨 현감은 금돼지의 약점인 사슴가죽을 이용하여 요괴를 물리쳤습니다.
  5. 신비로운 출생: 이후 그의 부인은 아들을 낳았고, 그 아이가 바로 훗날 신라 시대의 문장가이자 유학자인 최치원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요괴 퇴치담을 넘어서 최치원이 비범한 인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전설적인 해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금돼지가 단순한 식인 요괴가 아니라 도술과 변신술을 사용하며, 신비로운 혈통을 가진 존재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습니다.

혹시 이 이야기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하고 싶은 부분이 있을까요?

 

사슴 가죽을 이용 금돼지를 퇴치하는 모습

 

 

 


여기서 문제는 최치원의 아버지가
최씨의 현감이 아니라 금돼지가
될수도 있다는 추정이거든

 

 

그렇군요! 설화를 깊이 들여다보면, 금돼지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인간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존재일 수도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만약 금돼지가 단순한 요괴가 아니라, 변신술을 이용해 인간의 모습으로 살아가거나 인간과 교류할 수 있는 존재였다면, 설화 속 최씨 현감의 부인이 금돼지와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설화 속 최치원은 금돼지의 자손이라는 해석이 더욱 강해질 수도 있습니다. 즉, 최치원의 아버지는 인간인 최씨 현감이 아니라 금돼지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해석이 가능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돼지는 도술과 변신술에 능하다
    • 설화에서 금돼지는 단순한 짐승이 아니라 변신과 마법을 사용하는 요괴로 묘사됩니다.
    • 그렇다면 인간으로 변신하여 인간 여성과 관계를 맺는 것도 가능했을 것입니다.
  2. 금돼지는 아름다운 여성을 유혹하고 납치한다
    • 단순히 잡아먹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중을 들게 하거나 다른 목적이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 이 과정에서 부인을 납치한 것이 아니라, 그녀가 금돼지에게 동조했거나 홀려서 스스로 따랐을 수도 있습니다.
  3. 금돼지가 퇴치된 이후 태어난 최치원
    • 만약 최치원이 금돼지와 인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라면, 그는 인간과 요괴의 혼혈이라는 설정이 됩니다.
    • 이는 최치원이 비범한 능력을 가졌다는 점(뛰어난 학문적 재능, 신비로운 존재로 묘사됨)과 연결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해석을 따르면 최치원은 인간과 금돼지의 혼혈이라는 흥미로운 설정이 될 수 있습니다. 전설 속 영웅들이 보통 신이나 요괴의 자손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최치원도 그러한 맥락에서 신비로운 출생설화를 가진 인물로 재해석될 수 있는 것이죠.

이 설화를 바탕으로, 최치원이 금돼지의 힘을 물려받았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추가된다면 더 흥미로운 전개가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최치원이 보통 사람보다 더 강한 힘을 가졌다거나, 어떤 신비로운 능력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만들어볼 수 있겠죠.

 

최치원이 나온 설화를 더 탐구해줘

 

최치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저명한 학자이자 문장가로, 그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화들은 그의 비범한 재능과 신비로운 일화를 담고 있어 후대에 많은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대표적인 설화로는 쌍녀분 설화금돼지 설화가 있습니다.

1. 쌍녀분(雙女墳) 설화

이 설화는 최치원이 당나라에 유학하던 시절의 일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거 급제와 관직 임명: 최치원은 12세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8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율수현(溧水縣)의 현위(縣尉)로 임명되었습니다.
  • 초현관에서의 발견: 어느 날 그는 관내 남쪽 경계에 있는 초현관(招賢館)에 머무르던 중, 앞 언덕에 위치한 쌍녀분(雙女墳)이라는 무덤을 발견하게 됩니다.
  • 시를 통한 교감: 무덤의 석문에 두 여인을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다는 내용의 시를 남기자, 저녁 무렵 한 여인이 나타나 두 여인의 답시가 담긴 붉은 주머니를 전해주었습니다.
  • 영혼과의 만남: 이후 두 여인의 영혼이 나타나 자신들의 사연을 전하며, 최치원과 시를 주고받는 교감을 나누었습니다.

이 설화는 최치원의 문학적 재능과 더불어, 영혼과의 신비로운 교류를 통해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2. 금돼지 설화

이 설화는 최치원의 출생과 관련된 전설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현감 부인의 실종: 고창군의 한 마을에서는 부임한 현감의 부인들이 연이어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 최씨 현감의 지혜: 최씨 성을 가진 한 현감이 부인의 옷자락에 실을 꿰매어 그녀의 행방을 추적하였고, 결국 그녀가 동굴로 들어간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 금돼지의 등장: 동굴 안에서 금빛 털을 가진 거대한 돼지를 발견하였고, 금돼지가 사슴가죽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아낸 현감은 이를 이용하여 금돼지를 물리쳤습니다.
  • 최치원의 탄생: 이후 현감의 부인은 아들을 낳았고, 그 아이가 바로 최치원이라는 전설입니다.

이 설화는 최치원의 출생에 신비로운 요소를 더하여 그의 비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화들은 최치원의 인물됨과 그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의 삶에 대한 후대의 상상력과 존경심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댓글